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따른 실재감 및 학업 성취도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Academic Presence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ypes of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김나영, 이동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academic presence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Content development types were divided into HTML5-based contents, which is interactive contents, and Flash-based contents, which is video presenting type. One group at G high school located in B region learned with HTML5-based contents, and the other group learned with Flash-based contents, and then conducted a survey on the presence and an achievement evaluation. Presence was analyzed through a paired t-test, and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was measured through analysis of covari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HTML5-based contents had high levels of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learning cont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was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따라 학습자가 느끼는 실재감 및 학업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상호작용 중심형 콘텐츠인 HTML5 기반 콘텐츠와 영상 제시형 콘텐츠인 Flash 기반 의 콘텐츠로 콘텐츠 개발 유형을 구분했다. B 지역에 소재한 G 고등학교 1개 학급을 두 개 그룹으로 나눠 HTML5 기반 콘텐츠와 Flash 기반 콘텐츠를 각각 학습하게 하고, 실재감에 대한 설문 및 성취도 평가를 실시했 다. 실재감은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고, 성취도의 차이는 공변량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따른 실재감과 학업 성취도 모두 HTML5 기반의 상호작용 중심형 콘텐츠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될 이러닝 콘텐츠의 개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이러닝과 이러닝 콘텐츠
2. HTML5 기반 콘텐츠와 Flash 기반 콘텐츠
3. 실재감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및 자료 처리
Ⅳ. 연구 결과
1. 사전 검사 결과
2.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따른 실재감
3.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따른 학업 성취도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나영 Na Yeong Kim. 정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 이동엽 Dong Yub Lee. 정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