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해방 후 한국 일본의 교육과정 변화와 역사교육

해방 이후 한국의 역사과 교육과정 변천과 쟁점

원문정보

Changes and issues in Korean history curriculum after Liberation

허은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ooking at the changes and issues in Korean history and curriculum over the past 80 years since liberation will help us to set the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in the future. The changes in Korean history and curriculum since liberatio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period from the US military regime to the second curriculum period, from the third curriculum to the seventh curriculum, and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the current 2022 revised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change, 'integration into social studies', 'linking Korean history with world history', and 'securing the affiliation of history education' became major issues. Since history is different from social sciences in nature, it would be wrong to integrate history into social stu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ndle history subjects including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into one and stand alone as a single subject. This is also a way to fix the problem of the old Korean history curriculum, which separates Korean and world history education and weakens world history education due to the dualisation of Korean and world histor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ind a systematic framework for an independent history curriculum by securing affiliation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history education. Despite these developments, Korean history education is still subject to many external influences, both domestic and foreign, and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history education scholars and teachers to be more active and vocal as experts in the field. The proposed national history and curriculum should be reorganised in such a way that history education specialists provide only a general direction or framework for history education, and local and unit schools and history teachers are given sufficient autonomy.

한국어

해방 이후 80여 년이 지난 현재 시점에서 한국의 역사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 쟁점을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 역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많은 도움 이 될 것이다. 해방 이후 역사과 교육과정은 한국사 발행체제를 기준으로 크 게 미군정기에서 2차 교육과정기까지, 3차 교육과정에서 7차 교육과정까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현재의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로 그 변천을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변천의 과정에서 ‘사회과로 통합 방안’,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 계 방안’, ‘역사교육의 계열성 확보 방안’ 등이 주요 쟁점이 되었다. 역사학은 학문이 성격이 사회과학과는 다르므로 역사를 사회과에 통합 하려는 것은 잘못된 방향이다. 따라서 한국사와 세계사를 비롯한 역사 과 목을 하나로 묶어 하나의 교과로 독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한국사와 세계사가 이원화됨으로써 한국사와 세계사 교육이 분리되고, 세계사 교 육이 약화되는 오래된 한국 역사과 교육과정의 병폐를 고칠 방안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교육에서 초-중-고 간의 계열성을 확보 방안을 마련하여 독립적인 역사과 교육과정의 체계적인 틀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한국 역사교육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의 역사교육은 국내외의 외부 영향을 많이 받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내외적으로 한국 의 역사교육을 두고 일어나는 일들에 역사교육 학자들이나 교사들이 전 문가로서 지금보다 더 적극적이고 확실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제시되는 국가의 역사과 교육과정은 역사교육 전문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의 큰 방향이나 틀만 제시하고, 지역과 단위 학교 및 역사교사의 자율성이 충분히 보장되는 방향으로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해방 이후 역사 교육 과정 변천
Ⅲ. 역사과 교육과정의 쟁점
Ⅳ. 2022 개정 교육과정 내용과 쟁점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허은철 Heo, Eun-chul. 총신대학교 역사교육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