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온라인 방식 한국어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에서 변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variables in the online Korean speaking tests for academic purpose

강석한, 박현정, 이성준, 민병곤, 홍은실, 안현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eign students learning Korean took part in an online speaking test to evaluate their ability to speak Korean. The major research questions covered the effects the task types have on L2 test-takers’ proficiency, test types, and raters. Furthermore, the authors investigated what the results imply regarding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orean-language tests. The authors divided the 394 participants into four proficiency levels: mid-low, mid-high, high-low, high-high. Six native speakers were invited to assess the rating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Korean proficiency levels on ratings differed depending on test type. The subjects of the mid-low level showed a wide range of logic across the tasks, while those of high-high level a narrow range. Moreover, the degree of difficulty on both levels could be ordered as follows: ‘story (experience) > explain (table), persuasion (dialog) > persuasion (read) > persuation (lecture) > explain (picture)’ for the mid-low group, and ‘persuasion (lecture) > persuasion (dialogue)> explain (picture) > explain (table) > persuasion (read) > story (experience)’ for the high-high group. The most difficult task, however, was the different test types: the persuasion task (lecture) on the B type and the explanation task (picture) on the A type. The study revealed that rater training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case of an online, non-interview speaking tes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 수행에 관여하는 변인들을 추적 관찰하였다. 연구 주제는 과제 유형(서사, 설득, 설명)이 평가자(6인), 평가 유형(가형 나형), 한국어 능력수준(중급하, 중급상, 상급하, 상급상), 학력 수준(고졸, 대재, 대졸, 석사, 박사)등의 변인과 상호작용하여 평가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4개 한국어 능력 수준(중급하, 중급상, 상급하, 상급상)에 해당하는 394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온라인 비대면 시험에 응시하였고, 6명의 한국인 교강사들이 평가를 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의 한국어 능력 수준은 과제 유형에 따라 평가에 다른 영향을 미쳤다. 즉, 중하급 수준의 피평가자들은 과제 유형간에 폭넓은 범위의 logit 분포를 보였지만, 상급상 수준의 피평가자들은 비교적 좁은 범위의 분포를 보였다. 또한 과제 난도(difficulty)에서도 수준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중급하 집단은 ‘서사(경험) > 설명(도표), 설득(대화) > 설득(지문 > 설득(강의) > 설명(그림)’순으로 일상적인 경험 표현이 비교적 쉬운 영역이지만, 상급상 집단에서는 ‘설득(강의) > 설득(대화) > 설명(그림) > 설명(도표) > 설득(지문 > 서사(경험)’순으로서 학문 영역 과제가 비교적 쉬운 영역으로 나타났다. 가형 및 나형 평가지에 따라서 가장 어려운 난도에 해당하는 과제는 달랐다. 가형 평가지에서는 설명(그림) 과제가, 나형 평가지에서는 설득(강의) 과제가 가장 난도가 큰 과제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온라인 비대면 평가에서는 과제 설계도 중요하지만, 이런 변수들을 고려할 수 있는 평가자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기존 연구
3. 연구 방법
3.1. 수험자 및 평가자
3.2. 과제
3.3. 평가 기준표
3.4. 분석
4. 연구 결과
4.1. 전반적 평가 결과
4.2. 평가자 평가 경향
4.3. 평가 유형
4.4. 한국어 능력 언어 수준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강석한 Kang Seokhan.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양대학 부교수
  • 박현정 Park Hyunjeong.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 이성준 Lee Sungjun.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박사후 연구원
  • 민병곤 Min Byeonggon.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 홍은실 Hong Eunsil.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대우교수
  • 안현기 Ahn Hyunkee.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