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심미적 소통행위로서의 소설교육에 대하여

원문정보

A Study on Novel of Education as an Act of Aesthetic Communication

임환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iterary ability is a strategy to reading of works while the inner dialog between reader and writer. Besides it are self awareness skills about the ego and the world. To develop these skills, learners should to undergo the following reading process. First, Learners must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text through narrater and narratee. Secondly, text should be given shape by putting the learner’s expectations horizons filled with as the uncertainty of the novel’s text portion Thirdly, learner should to understand narrative strategy as to make clear what concealed in the text and we should determine that this strategy is how to calculate the effect of a novel. Fourthly, learner should see dating to transform the fictitious world of experience of novel text to contents of the substance of the story of the fictitious or actual world with rules of story. Fifthly, learner must evaluate value to seek the association between learner’s own world perception and text meaning. Lastly, must reach to self awareness as to project experience world to gain novel text in their lives. This process is to maintain a relationship not with a rigid line abut to coincidental relationship. All process take place at the same time. Then learners magnify and take wing not emotional competence to gain cognitive knowledge structures but literary ability to gain literal reading experience(includes schemas of prior experience). This is important before everything else. Learners should be able to learn these an act of aesthetic communication ability to efficiently. The essence of the novel education is that literary does educational practice through to subdivide and systematize levels of discourse for communicate activity.

한국어

문학 능력은 독자가 텍스트를 통하여 작가와 내적 대화를 하면서 작품을 읽어내는 제반 방략이면서 자아와 세계에 대한 자기인식의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을 기르기 위해 학습자는 다음과 같은 독서과정을 거쳐야 한다. 먼저 학 습자는 서술자와 피서술자의 담론을 통해 소설텍스트의 구조를 이해해야 한 다. 둘째, 소설텍스트의 불확정성의 부분을 학습자의 기대지평으로 채워 넣음 으로써 텍스트를 구체화해야 한다. 셋째, 소설텍스트에 무엇이 어떻게 감추어 졌는가를 밝힘으로써 작가의 서사전략을 이해하고 이런 전략이 어떤 소설적 효과를 산출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넷째, 소설텍스트의 허구적 경험 세계를 이야기 문법에 따라 내용의 실체인 실제적 혹은 허구적 세계의 원화(이야기)로 재구성하여 추정해 보아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 자신의 세계인식과 텍스트 의미 사이의 연관성을 찾아 가치를 평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소설 텍스트를 통한 경험세계를 자신의 삶에 투사시켜 자기인식에 도달해야 한다. 이런 과정은 엄밀히 선후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동시적이다. 모든 과정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자는 많은 소설 텍스트를 읽어냄 으로써, 인지적 지식구조로 배운 감상 능력이 아니라, 문학적 독서경험을 통 한 문학 능력(선행 경험체계인 스키마를 포함한)을 확대ㆍ신장시키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학습자가 이러한 심미적 소통행위의 능력을 효율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문학교사는 서사적 소통행위에 대한 담론의 층위를 세분화하고 체계화하여 교육적으로 실천을 하는 것이 소설교육의 본질이다.

목차

Ⅰ. 머리말:서사학과 소설교육
 Ⅱ. 소설의 서사 구조
 Ⅲ. 소설교육의 서사적 소통행위
 Ⅳ. 마무리:심미적 소통행위로서의 소설교육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임환모 Lim, Hwan-mo.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