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열처리한 감초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원문정보

Antioxidative Activity of Heat Tr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우관식, 장금일, 김광엽, 이희봉, 정헌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eat-treated licorice extracted by ethyl-acetate (EtOAc) and ethyl-alcohol (EtOH) were evaluated at various treatment temperatures (110, 120, 130, 140, and 150℃), times (1, 2, 3, 4, and 5 hr), and moisture contents (10, 20, 30, 40, and 50%). Maximum extraction yields of EtOAc treated at 140℃, 2 hr, and 20% moisture content and EtOH extracts treated at 120℃, 2 hr, and 40% moisture content were 9.48 and 32.90%, whereas those of control were 3.74 and 14.60%, respectively.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obtained from 13.95 mg/g EtOH extract treated at 150℃, 3 hr, and 30% moisture content (control: 6.92 mg/g).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IC50) was obtained from 0.32 g/L EtOAc treated at 140℃, 2 hr, and 20% moisture content (control: 0.57 g/L). Highest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activity value of 2,112.61 mg ascorbic acid (AA) eq was obtained from EtOAc extract treated at 120℃, 2 hr, and 40% moisture content (control: 1,920.27 mg AA eq). Optimum heat treatment conditions were 130-140℃, 3 hr, and 30% moisture content

한국어

감초를 처리온도, 처리시간 및 첨가수분함량을 변수로 하여 열처리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성분 및 생리 활성 변화를 분석하고 반응표면분석으로 최적화 조건을 조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140℃, 2시간, 가수량 20%일 때 9.48%로 무처리구의 3.74% 보다 높았고,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는 120℃, 2시간, 가수량 40%로 처리한 시료가 32.90%로 무처리구의 14.60% 보다 높았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열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150℃, 3시간, 가수량 30% 처리구가 1,391.51 mg/100 g로 무처리구의 6 692.23 mg/100 g 보다 높았다. 항산화활성(IC50)은 열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낮았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40℃, 2시간, 가수량 20% 처리구에서 0.324 g/L로 무처리구의 0.573 g/L 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항산화력(AEAC)은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20℃, 2시간, 가수량 40%처리구에서 2,112.61 mg AA eq로 무처리구의 1,920.27 mg AA eq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감초의 항산화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등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적의 열처리 조건은 130 및 140℃, 3시간, 가수량 30%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공시재료
  열처리 조건 및 감초 추출물제조
  추출수율 측정
  총 폴리페놀성 화합물의 분석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의 IC50 측정
  총 황산화력 측정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추출수율
  총폴리페놀 함량
  DPPH assay에 의한 항산화활성(IC50)
  ABTS-+ decolorization assay에 의한 총한산화력
 요약
 문헌

저자정보

  • 우관식 Koan Sik Woo.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장금일 Keum-Il Jang.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광엽 Kwang-Yup Kim.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희봉 Hee-Bong Lee.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Heon-Sang Jeong.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