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Improvement Movement and it's Evaluation of Korean Social Studies Instruction
초록
영어
I have investigate about the process of instruction improvement movement and extract the syn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 practice in Korean social studies from the Liberation to 7th curriculum period.
The instruction improvement movement of Korean social studies have two great changed on 3th curriculum period and 6th curriculum period. Problem-solving learning was introduced and spreaded after the Liberation, inquiry method and value education were introduced and spreaded in 3th curriculum period. Decision-making method was introduced in 4th curriculum period. Issue-centered instruction was introduced in 6th curriculum period and widely spreaded at these days about social studies classroom.
On the basis of investigation about the process of instruction improvement movement in Korean social studies, I can b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s follows: That is, introduction of teaching theory only from the U.S, introduction and spread of teaching theory upon a few scholar, inconsistency of teaching theory with learning practice, an evil influence of Korean political power, uniformity of research subject for instruction improvement.
한국어
본고에서는 사회과의 도입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나타난 우리나라 사회과 수업개선운동의 전개 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검토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사회과 수업 실천의 종합적 특성을 추출하였다.
우리나라 사회과 수업의 개선운동은 크게 제3차 교육과정기와 제6차 교육과정기를 기점으로 큰 변화를 시도하였다. 해방 직후에는 ‘문제해결학습’이 소개․보급되었고, 제3차 교육과정기에는 ‘탐구학습’과 ‘가치학습’이 대대적으로 소개․보급되었다. 그리고 ‘의사결정학습’은 제4차 교육과정기에 소개되어, 제6차 교육과정기에 와서 ‘쟁점수업’과 함께 교실 현장에 널리 파급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사회과 수업개선운동의 전개 과정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을 추출할 수 있었다. 즉, 미국 이론에의 과도한 의존 현상, 소수의 학자나 관주도에 의한 수업이론의 소개․보급 운동, 이론과 실천의 괴리 현상, 정치권력에 의한 영향력, 수업개선을 위한 연구 주제의 획일성 등의 특성이 드러났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회과 수업개선운동에서 이러한 부정적인 특성만 드러나는 것은 아니었다. 새로운 수업방법의 도입기에는 현장에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하였지만,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난 후에 교수원리에 부합하는 수업의 실천이 정착되고 있다는 점, 국민형성을 추구하던 과거의 국가주의적 행태에서 벗어나 인간형성․시민형성을 추구하는 방향 설정 등은 긍정적인 점들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사회과 수업개선운동의 전개
1. 문제해결학습의 도입과 실천
2. 탐구수업의 수용과 실천
3. 가치교육의 도입과 실천
4. 의사결정학습의 수용과 실천
5. 쟁점수업의 등장과 전개
Ⅲ. 한국 사회과 수업개선운동에 대한 평가
Ⅴ.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