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SBF Question on Conceptual Achievement and Eye Movement in Seasonal Constellation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o the effect of presenting SBF questions on the level of conceptual achievement and eye m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in seasonal constellation learning that requires systems thinking.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SBF questions was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ison groups, and scientific texts with different question types were presented to analyze the level of conceptual achievement and differences in eye movement of sixth-grade elementary students. Data analysis quantitatively analyzed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developed concept test paper and the eye movement data when learning scientific texts related to seasonal constell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BF question was a valid learning strategy for learning seasonal constellations. The SBF ques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pre- and post-test between group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in the pre- and post-test within the group. Second, SBF ques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arning by inducing learners with low preconceptions to area of interest that help them achieve concepts. In other words, when presenting SBF questions with visual data from a space-based perspective, it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eye movement analysi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fixation count (p<0.01) of learners. On the other hand, for learners with high scientific preconceptions, the effect of exploration was not significant because the preconceptions of the learners themselves acted as a hard core rather than the effect of SBF question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existing seasonal constellation learning studies in that it provides quantitative data through pre- and post-test and eye movement analysis in the seasonal constellation learning process, and can help elementary students learn seasonal constellations.
한국어
이 연구 목적은 시스템 사고가 요구되는 계절별 별 자리 학습에서 SBF 질문을 제시한 경우, 초등학생의 개념성취 수준과 시선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SBF 질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질문 유형을 달 리한 과학 텍스트를 제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 의 개념성취 수준 및 시선이동 차이를 분석하였다. 개 념성취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집단 내·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시선이동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Eye-tracker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시선을 추적하 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 참여 동의서를 통해 자발적 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6 명이다(연구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 본 연구를 위 해 연구 참여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계 절별 별자리와 관련된 학습 내용 전까지만 학습한 상 태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은 개발한 개념 검 사지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와 계절별 별자리와 관련 된 과학 텍스트를 학습할 때의 시선이동 자료를 정량 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계절별 별자리 학 습에서 SBF 질문은 유효한 학습 전략이었다. 학습자에 게 구조(Structure)-작용(Behavior)-기능(Function)과 관 련된 질문을 순차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을 때, 일반적인 질문보다 더 높은 학습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SBF 질문은 집단 간 사전·사후 개념 검사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으며, 집단 내 사전· 사후 개념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 를 보였다. 둘째, SBF 질문은 선개념이 높지 않은 학습 자에게 개념성취에 도움이 되는 영역을 학습하도록 유 도하여 학습자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우주기반 관점의 시각 자료와 함께 SBF 질문을 제시 하였을 때, 교과서의 일반적인 질문을 제시한 경우 보다 학습자의 총 시선고정 수에서 유의미한 차이 (p<0.01)를 보임을 시선이동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확인 하였으며, SBF 질문으로 학습한 학습자의 개념성취 수 준이 향상됨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SBF 질문 이 시각 자료가 함께 제시된 과학 텍스트 학습 과정에 서 능동적인 학습을 촉진한다는 실증적인 증거이다. 반면, 과학적 선개념을 많이 가지고 있는 학습자에게 는 SBF 질문의 효과보다 학습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선개념이 견고한 핵으로 작용하여 탐구의 효과가 크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계절별 별자리 학습 과정에서 SBF 질문의 효과를 사전·사후 검사와 시선이동 분석을 통 해 정량적인 자료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계절별 별자리 학습 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초등학생의 계 절별 별자리 학습과 관련된 지도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과제 개발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SBF 질문이 개념성취에 미치는 영향
2. 계절별 별자리 학습에서의 시선이동 특징 분석
Ⅳ. 종합 논의
Ⅴ. 결론
국문요약
References
[부록 1] 개념 검사지(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