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초등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및 탐구 활동 지도의 어려움 탐색

원문정보

Analyzing Inquiry Activities and Exploring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5-6

채동현, 신정윤, 김은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essential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5-6, and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teachers have in the actual teaching process. To this end, the essential research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 were analyzed into six types: experimentation/observation, investigation/ discussion and presentation, data interpretation, discussion/discussion, simulation activity, and expression. In addition, 10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vestigated for the suitability of inquiry activity achievement standards, suitability at the student's level, student interest, and difficulty in teaching instruction.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the most frequently suggested type was the experiment/observation type, followed by simulation activity type and data interpretation type.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discussion/discussion type in the 5th grade textbooks, and the 6th graders did not present research activities that correspond to the research/discussion/presentation type and the expression type in the textbook. In the results of teachers' responses to the suitability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and the suitability of the student's level, 5th graders showed lower average scores than 6th graders, and showed similar average scores in student interest and instructional difficulty. Also, it was confirmed that improvement was required for a total of 17 inquiry activities. Specifically,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guiding inquiry activities when the experimental results did not appear as intended in the textbook, when students' interest in inquiry activities was low, and when students and teachers had low understanding of related science concepts. Teachers pointed out practical problems such as difficulties in long-term observation in astronomy-related units, and students in upper elementary school not actively participating in dynamic play activities.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 과학 5~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필 수 탐구 활동의 유형을 파악하고, 현장 교사들은 실제 지도 과정에서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서에 제시된 필수 탐구 활동을 실험‧관찰, 조사‧토의 및 발표, 자료 해석, 토의‧ 토론, 모의활동, 표현하기의 6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였 다. 또한 초등 교사 108명을 대상으로 탐구 활동에 대 한 탐구 활동의 성취기준 달성 적합성, 학생 수준 적합 성, 학생 흥미도, 수업 지도의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제시되는 유 형은 실험‧관찰 유형이었고, 다음으로 많은 유형은 모의활동 유형, 자료 해석 유형이었다. 5학년 교과서에는 토의‧토론 유형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6학년은 조 사·토의 및 발표 유형과 표현하기 유형에 해당되는 탐 구 활동이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았다. 교과서에 제시 된 탐구 활동의 성취기준 달성 적합성과 학생의 수준 의 적합성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결과에서는 5학년이 6 학년에 비해 낮은 평균 점수를 나타냈고, 학생 흥미도 와 지도 어려움에서는 비슷한 평균 점수를 보였다. 설 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이 필요한 탐구 활동을 도출한 결과 총 17개의 탐구 활동에 대한 개선이 필요 한 것을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사들은 실험 결과 가 교과서에서 의도한대로 잘 나타나지 않을 때, 탐구 활동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가 낮을 때, 학생 및 교사들 이 관련된 과학 개념에 대해 이해도가 낮을 때 탐구 활동 지도의 어려움을 겪는다고 응답하였다. 천문 관 련 단원에서 장기간의 꾸준한 관찰이 어렵다거나 초등 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역학놀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지 않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도 지적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자료 수집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탐구 활동 유형
2. 탐구 활동 지도의 어려움
Ⅳ. 결론 및 제언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채동현 Dong-Hyun Chae.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 신정윤 Jung-Yun Shin. 대전배울초등학교 교사
  • 김은애 Eun-Ae Kim.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