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education using teaching tools is important to both students and teachers, the quality problem of distributed teaching tools is constantly being rais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ing tools by classifying them into three quality factors, and to confirm th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first CIT survey and the second survey targeting incumb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PL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s an analysis tool. Through empirical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product quality, educational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eacher satisfaction, and that teach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this, it gives teachers insight into what they should focus on when purchasing or evaluating teaching tools and how to use them usefully for education, and for researchers, it provides an important clue to research for product quality improvement, and for companies that produce and distribute teaching tools, it gives to effective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contents.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ing tools and teachers, additional research on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ing tools and various objects is needed, and this is suggested as a future study.
한국어
교구를 사용한 교육이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중요하지만, 유통되는 교구의 품질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구를 세 가지 품질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초등 교사들의 교구에 대한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를 확인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현직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1차 CIT 조사와 2차 설문조사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분석도구는 PL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제품 품질과 교육 품질, 서비스 품질은 교사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교사 만족도는 재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교구를 구매 또는 평가할 때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과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통찰을 주고, 연구자들에게는 제품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에 중요한 단초가 되며, 교구를 생산 및 유통하는 기업에게는 신제품과 콘텐츠 개발에 유효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후에는 교구와 교사 외에, 교구와 여러 대상 간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향후 연구로 제안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실험(실습) 교구
2.2 중요사건기법 (CIT)
2.3 제품 품질
2.4 교육 품질
2.5 서비스 품질
2.6 교사 만족도
3. 연구 방법
3.1 연구 가설 설정
3.2 연구 모형
3.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4. 결과
4.1 인구통계적 특성
4.2 측정 모델 (Outer Model) 평가
4.3 구조 모델 (Inner Model) 평가
4.4 가설 검정
4.5 매개효과 검정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