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유아 장애통합반 필요성, 운영, 효과성 및 전문성에 대한 담당교사 인식 비교

원문정보

A Comparison of Teacher’s Awareness towards Managing Inclusive Class for Young Children

김채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eacher’s awareness towards managing inclusive class for young children and to reveal the understanding of it between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special needs and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non-special nee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50 teachers who work at inclusive Daycare center in S city. 75 of them were responsible for special needs and 75 were responsible for non-special need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level of teacher’s awareness toward managing inclusive class for young children was low and the level of teacher’s awareness toward the need for inclusive education,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and professionality of teachers were high. Second,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special needs had higher awareness than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non-special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from inclusive class as well as the basis for policy.

한국어

본 연구는 영유아 장애통합반 운영을 하고 있는 담당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장애영유아 담당교사와 비 장애영유아 담당교사 간의 장애통합반 운영에 대한 이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내 장애통합반에서 근무하는 장애영유아 담당교사 75명, 비장애영유아 담당교사 75명 총 150 명이었다. 영유아 장애통합반 운영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하고 배부하여 연구 자 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 장애통합반 운 영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낮고, 장애통합교육의 필요성, 효과성, 담당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비장애영유아 담당교사에 비해 장애영유아 담당교사의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통합교육을 운영하는 담당교사에 대한 정책적 지원 근거가 될 뿐 아니라 담당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2.3 연구절차
2.4 자료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3.1 영유아 장애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담당교사 간 인식 차이
3.2 영유아 장애통합반 운영에 대한 담당교사 간 인식 차이
3.3 영유아 장애통합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담당교사 간 인식 차이
3.4 영유아 장애통합반 담당교사 전문성에 대한 담당교사 간 인식 차이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채연 Chayyoun Kim.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