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Understanding the Initial Career Adaptation Process and the Meaning of Career Transition of College Graduates

원문정보

대졸 신입사원의 초기 경력적응과 경력전환 의미에 대한 이해

Min-Young, Ko, Seon-Joo,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career adaptation in the first workplace and the meaning of the first workplace career transition among new college graduates. In particular, we noted the voluntary career transi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applied Savickas's Career Adaptation 4C concept to understand experiences among the college graduates’career adapt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irst to learn about the career adaptation experiences of new college graduates and second to understand what the meaning of their first work life was. The authors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nine participants who have less than two year experiences working life. The study results have shown that first, new college graduates were interested in a better job in their career(concern), contemplating in ‘holding up’and ‘leaving out’(control), finding opportunities for a new start(curiosity). It was found that they experience the first step toward reemployment(confidence). Second, their first work life had the meaning of first-time enlightenment and opportunity for growth through learning. Also, their first work experience had a new meaning through reflection, and was positively changing their lives through personal growth. These findings provided implications for effective employment support services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business sectors.

한국어

본 연구는 대졸 신입사원들을 대상으로 첫 직장 생활에서의 경력적응 경험과 첫 직장 생활 과 경력전환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연구 참여자들의 자발적 경력 전 환에 대해 주목하였으며 첫 직장 생활의 경력적응 경험을 Savickas의 경력적응성 4C 개념을 적 용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대졸 신입사원들의 경력적응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첫 직장 생활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첫 직장 생활의 경험이 2년 이하이고 이직을 경험한 9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 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졸 신입사원들은 첫 직장 생활에서 더 나은 직장에 관심 가지기(우려와 관심/concern), ‘버티기’와 ‘뛰쳐나오기’에서 고민하기(통제/control), 새로 운 출발을 위한 기회 찾기(호기심/curiosity), 재취업을 향해 첫발 내딛기(자신감/confidence)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첫 직장 생활은 ‘처음이 주는 경험은 나의 미래 자산’과 ‘배움을 통한 성장’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첫 직장에서의 경험은 반성 과 성찰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갔으며, 개인의 성장을 통해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 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고등교육기관과 기업의 효율적인 취업지원서비스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경력적응성
2. 경력전환
Ⅲ. 연구방법
1. 질적 연구
2. 연구대상
3.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1. 대졸 신입사원의 첫 직장 생활에서의 경력적응 경험
2. 첫 직장 생활의 의미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Min-Young, Ko 고민영. Pukyong National University Grarduate student
  • Seon-Joo, Kim 김선주.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