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 통합교과 주제별교과서 발문유형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n Types of Questionings in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민보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questionings in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To accomplish this study, the types of questionings in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were classified using Moore’s classification system and analyzed by grade, subject, and unit component. As a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questionings by grade in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was high in the order of ‘empirical-productive-factual-evaluative questioning’ in both the 1st and 2nd graders. Second,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e composition of types of questionings by subject in the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The percentage of evaluative questioning was relatively high in the lessons that including Disciplinary Life, and the percentage of factual questioning was relatively high in the lessons including Intelligence Life. In the lessons including the Pleasant Life, empirical questioning and productive questioning were the most. Third, there was a characteristic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types of questionings by unit component. It turns out that this difference is due to the fixed presentation of the same questionings in the and across all grades and unit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questionings in the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implemented by the textbook.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some fixed questionings that appear in the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 주제별교과서의 발문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합교과 주제별교과서의 발문유형을 Moore의 발문 분류체계 를 이용하여 분류하고, 이를 학년별, 교과별, 단원구성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별교과서의 학년별 발문유형은 1, 2학년 모두 ‘경험적- 생산적-사실적-평가적 발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제별교과서의 교과별 발문유형 구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바른 생활을 포함한 차시에서는 평가적 발문의 비율이, 슬기 로운 생활을 포함한 차시에서는 사실적 발문의 비율이 높았다. 즐거운 생활을 포함한 차시에 서는 경험적 발문과 생산적 발문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주제별교과서의 단원구성별 발문유형 구성에서 특징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전 학년, 전 단원에 걸쳐 ‘주제 만나기’와 ‘주제 학습 마무리하기’ 부분에서 같은 발문이 고정화되어 제시되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합교과 주제별교과서의 발문 은 교과서가 구현하는 통합교육과정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통 합교과 주제별교과서 단원전개에 따라 단원구성 부분별로 고정화되어 나타나는 발문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발문의 유형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교과 주제별교과서 특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1. 학년별 발문유형 분석
2. 교과별 발문유형 분석
3. 단원구성별 발문유형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민보선 Min, Bo Sun. 천상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