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역사교육 평가의 현재와 미래

역사과 교과 역량 설정과 평가의 과제

원문정보

A study on formulating and assessing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history education

박주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alled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as defin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History Curriculu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ffer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those curriculum capabili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These suggestions are as follows: The key concepts and elements of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history curriculum need to be re-defined, with a close attention paid to defining a vision for the assessment of competencies. To this end, it is worth considering the ways in which the level of competencies outlined in the history curriculum of the two German States, Hessen and Berlin, are systematized on the basis of disciplinary thinking. In particular, the level descriptions specified in the curriculum of the both stat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historical concepts such as evidence and causal relationships in designing a competence based curriculum. Worrying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view generic competencies such as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as primary objective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without any attempt to link those capacities with the acquisition of the core knowledge and skills of specific school subjects. In conclusion, in the development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history, the focus needs to be put on fostering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epistemic knowledge, which are domain-specific rather than domain-free. This approach will help students apply specific knowledge to unfamiliar contexts, and thus form new understandings, which will contribute to building up key competencies.

한국어

이 글에서는 역량기반 교육의 실행과 관련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과 교과 역량 설 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역량 도입에 따른 평가 방향의 변화 속에서 요구되는 역사과 교과 역량 평가의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교과 역량의 평가 문제를 고려하면 현재 역사과 교 과 역량의 개념과 하위 요소가 평가 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될 필요가 있으며, 학 습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 성취의 달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 설정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독일 헤센 주와 베를린 주의 역사 교과 역량 수준 구체화 방식에 주목할 필 요가 있다. 특히 역사과 고유의 사고력 발휘에서 핵심적인 역사적 증거 개념에 대한 이해, 연속성과 변화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교과 역량을 체계화한 점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실제 문제 상황에서의 적용 및 수행 능력을 중시하는 역량 기반 교육에서 강조하는 문제해결력이나 비판적 사고와 같은 ‘일반 역량’의 경우, 별도의 평가 대상으로 간주되기 보다는 교과에서 중시하는 지식이나 기능과 어떻게 연계하여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를 고 민할 필요가 있다. 교과에서 중시되는 개념적 이해(conceptual understanding)나 인식론적 지 식(epistemic knowledge)을 중심으로 교과 학습 자체의 현상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제고하는 것이 지식을 낯선 맥락에 적용하고 새로운 이해로 나아가는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과 교과 역량 설정의 문제점
Ⅲ. 독일 교과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교과 역량의 구체화 방식
Ⅳ. 역량 도입에 따른 평가 방향의 변화와 역사교육 연구의 과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박주현 Park, Joo-Hyun.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