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3D 프린팅 활용 교육 프레임워크 제안 및 적용의 탐색적 연구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about the Activity Framework for 3D Printing in Education and Implementation

소효정, 이지향, 계보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lected 3D printing that is highly likely to be adopted in school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stages: 1) proposing the learning activity framework for utilizing 3D printing in education, and 2) exploring the potential of integrating 3D printing in the school field. The '3D printing learning activity framework' proposed in this study includes four phases that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collaborative interaction: Step 1 as production through replication, Phase 2 as means of imaginary expression, Phase 3 as near problem-solving, and Phase 4 as expanded problem-solving. Next, we conducted the field study with 23 students in the 6th grade math class where they learned the various solid shapes and volumes through 3D printing-integrated activities. The lesson was considered as Phase 1, which is the production through replication.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d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efficacy of 3D printing activities, the quality of learning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usability of 3D printers and CAD program needs further improvement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learning activity framework that can guide 3D printing activity design in school, and in the exploration of enhancing the connection between 3D printing activities and curricular relevance beyond simple interest toward a novel technology.

한국어

본 연구는 학교에서 도입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신기술인 3D 프린팅 활용 교육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크게 3D 프린팅 활용을 위한 학습활동 프레임워크 제안과 3D 프린팅 활용 교육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두 단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3D 프린팅 활용 학습활동 프레임워크’는 ‘문제 해결과정의 복잡성’과 ‘협동적 상호작용’을 두 축으로 하여, 1단계는 재현을 통한 제작, 2단계는 상상 표현의 수단, 3단계는 근접한 문제 해결, 4단계는 확장된 문제 해결의 네 단계로 활동을 구분하였다. 두 번째 연구목적인 학교현장에서의 사례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학교과에 3D 프린팅 활동을 접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1단계 재현을 통한 제작’에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형의 형태와 부피를 학습하였다. 연구결과 참여 학습자들이 전반적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인 학습경험을 보였으며 학습경험의 질 및 만족감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D 프린터 및 CAD 프로그램의 사용성에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3D 프린팅 활동 설계를 가이드할 수 있는 거시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단순 흥미를 넘어서 교과연계성을 가지는 3D 프린팅 활동의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와 연계주의적학습 관점
  2.2 3D 프린팅 기반 메이커스페이스 활동
  2.3 3D 프린팅의 교육적 활용 현황
 3. 3D 프린팅의 교육적 활용 프레임워크 제안
  3.1 문제 유형 및 협동적 상호작용의 정도
  3.2 학습활동의 지식적 가치 판단 요소
  3.3 각 단계별 활동 설명
 4. 학교현장의 3D 프린팅 활용 교육 탐색
  4.1 연구 대상
  4.2 연구 방법
  4.3 연구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소효정 Hyo-Jeong S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이지향 Ji-hyang L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계보경 Bokyung Kye.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