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제2차 교육과정기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제2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발행과 서술 변화

원문정보

Publishment and descriptions of high schools korean history textbooks in 2nd curriculum period

허은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1st curriculum perio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ontents were different as several types of authorized textbooks were published. Such confusion in the content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as regarded serious then. It was something that would naturally arise when authorized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however, this was the very excuse they came up with later to make government-designated Korean history textbooks. In 1963, it was tried to unify either terms or notations about historical facts people had different opinions about. In 1969, with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y examined descriptions in 11 kind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made syllabuses newly. As an extension of this, in the 3rd curricular revision, they tried to establish criteria for compil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n government-designated and authorized high school textbooks during the 2nd curriculum period lasting from 1968 to 1974, descriptions in government-designated and authorized ones were not very different in 1968; however, in 1972, the two types of textbooks came to be differentiated. Authorized Korean history textbooks did not change much in academic high schools, but government-designated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did reflect the government’s intention to infuse its particular ideology and also the social demand then. It implies that government-designated Korean history textbooks can be seen as a device to reflect the government’s purpose better than authorized ones. It has been found that anticommunism was stressed in the 1st curriculum period, and cultivating national identity was emphasized in the 2nd curricular period. Though the topics were diffe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in a way to conform to the very purpose to maintain the system basically. Through research on the publication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change in their descriptions during the 2nd curriculum period, this author has learned the followings: first, the 2nd government-designated vocational high school textbooks were the first government-designated Korean history textbook. Second, when government-designated and authorized textbooks are used at the same time, descriptions in the textbooks may change in some ways. Third, the 2nd government-designated vocational high school textbooks were used as an experiment stand for producing government-designated Korean history textbooks entirely through the 3rd curricular revision. The government’s control on Korean history textbooks came to be either strengthened or weakened to particular situations; however, its basic principle for controlling them still seems valid. The government policy applied then was to unify the people’s ideas through thorough anticommunist consciousness. They intended to attain the goal with the method of ‘using education’. Education was, in fact, an effective means that the government used to accomplish its policy. The government presented its educational goal of how to cultivate the people and organized the curriculum. At the moment when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realized through educational behavior in each of the schools, the government’s goal comes to be actualized. For this, the government meant to control the subject of Korean history and produce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for it. Such government’s intention was reflected aggressively from the 2nd curriculum period when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were adopted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he government’s control on Korean history textbooks started in this way came to genuinely begin in the 3rd curriculum period when they applied government-designated Korean history textbooks.

한국어

1차 교육과정기 여러 종류의 검정 교과서가 발행되면서 내용의 차이 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국사교과서의 내용상 혼란은 심각한 것으로 여겨 졌다. 검정 국사교과서를 발행하면 언제나 제기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이 것은 이후에 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만드는 커다란 구실이었다. 이에 1963년에는 견해를 달리하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용어나 표기법의 통일 이 시도되었고, 1969년에는 문교부의 지원으로 11종 국사 교과서의 서술 내용을 검토하고 새로운 교과요목의 시안을 작성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작업의 연장에서 이후 3차 교육과정 개정에서 교과서 편찬의 준거를 부 여하려고 하였다. 2차 교육과정 시기 1968년부터 1974년까지 고등학교 국정과 검정 교 과서 비교를 통해 1968년에는 국정과 검정이 내용 서술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1972년을 거치면서 두 교과서에서 차이가 생겨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인문계 고등학교 검정 국사 교과서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실 업계 고등학교 국정 국사 교과서는 정부의 특정 이데올로기 주입이라는 의지와 당시 사회적 요구를 충실히 반영했다. 이를 통해 검정에 비해 국 정 국사 교과서가 정권의 의지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장치라는 결론에 도 달할 수 있었다. 1차 교육과정이 반공에, 2차 교육과정은 민족정체성 함 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제는 다르지만 결국은 체제유 지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국사교과서가 발행된 것이다. 2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발행과 서술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첫째, 2 차 실업계 고등학교 국정 교과서가 최초의 국정 국사교과 서임을 확인하였고 둘째, 국정과 검정이 혼용되었을 때 국사교과서의 서 술에는 각각 어떠한 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셋째, 2차 실업계 고등학교 국정 교과서가 3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전면적인 국 사교과서의 국정화의 실험대였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정부의 국사교과서에 대한 통제는, 여러 상황과 맞물려 때로는 강화되 기도 약화되기도 하였으나 통제를 한다는 기본방침은 현재까지 유효하 다. 당시 정부 정책은 철저한 반공 의식으로 국민의 사상을 통일하는 것 이며, ‘교육을 통한’ 방법으로 그 목적을 달성하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교육은 정부가 정책을 달성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정부는 양 성하고자 하는 국민의 모습을 교육 목표에 제시하고, 교육과정을 편성하 였다. 이를 토대로 제작된 국사교과서가 각 급 학교에서 교육행위를 통 해 구현되는 순간 정부의 목표는 현실화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국사교과를 통제하고 국정화 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정부의 의지가 적극 적으로 반영되기 시작된 것이 바로 2차 교육과정 시기 실업계 고등학교 국정교과서부터이다. 결국 이렇게 시작된 정부의 국사교과서 통제는 3 차 교육과정에서 국사교과서를 국정화하면서 본격화되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제2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 발행 체제
 Ⅲ. 제2차 교육과정기 국‧검정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서술 변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허은철 Heo, Eun-Chul. 총신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