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류상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two fifty grade classes were selected and each made a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but conventional Practical Arts lesson was applied to control group.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showed improvement on the career maturity of fifty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ub-factors, the experiment group which received classes through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improved their self understanding and attitudes toward job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didn't show improvement on the career efficacy of fifty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post-test of experiment group showed improvement on the career efficacy compared to the pre-test. This suggests extension of experiment period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Practical Arts in the future stud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1개 학급은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을 실행하는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1개 학급은 일반적 실과 수업을 진행하는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와 진로효능감의 차이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은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기이해와 일에 대한 태도는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을 통해 향상된 반면, 계획성과 독립심은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은 초등학생의 진로효능감 수준을 높여주는데 효과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진로효능감은 사전검사에서 비해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실험집단의 진로효능감이 향상되었음에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간의 진로효능감이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진로효능감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의 효과를 재검증하기 위해서는 실험 기간의 연장과 학년 확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2. 연구 설계
  3. 연구 절차 및 실험 처치
  4. 검사 도구
  5.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2. 진로성숙도 분석
  3. 진로효능감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류상희 Ryu, Sang-Hee. 청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