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Teaching Competency in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competence observed in the case of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the functioning of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as not only a learner-oriented discipline, but also as a process of developing teaching competenc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level of theoretical teaching competency, it is described as ‘constructing knowledge with learners’, In the level of introspective teaching competency, it is ‘reflective attitude to pursue community goodness’, and In the level of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it is a ‘performative function to cultivate global citizens’. This study showed the process how the teachers would improve the teaching competenc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has the relation with local communities beyond the formal learning that is only obsessed with functionalism and neoliberalism.
한국어
본 연구의 목표는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한 교사들의 무형식학습 실행 경험에 나타난 교수역량의 의미를 분석하고,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이 학습자 대상의 교육으로서 뿐만 아니라 교수역량을 함양하는 과정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교육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한 교사들의 교수역량은 이론적 교수역량의 차원에서 ‘학습자와 함께 하는 지식 구성’, 성찰적 교수역량의 차원에서 ‘공동체 선을 지향하는 반성적 태도’, 실천적 교수역량의 차원에서 ‘세계시민을 육성하는 수행적 기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 밖 다문화현장에서 무형식학습을 실행하는 교사들의 교수역량이 지식 구성, 반성적 태도, 수행적 기능을 포괄하는 앎과 성찰과 행함의 프락시스로 밝혀짐에 따라, 기능주의와 신자유주의에 경도되어 있는 형식학습의 틀을 넘어서서 지역사회와 연계된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이 교수역량을 함양하는 과정으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과 교수역량
1. 무형식학습의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2.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에서의 교수역량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프로그램
2. 연구참여자
3. 자료 분석 및 수집
Ⅳ. 교수ㆍ학습 경험과 교수역량의 의미
1. 이론적 교수역량: ‘학습자와 함께 하는 지식 구성’
2. 성찰적 교수역량: ‘공동체 선을 지향하는 반성적 태도’
3. 실천적 교수역량: ‘세계시민을 육성하는 수행적 기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