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과 기대

원문정보

The thoughts and expectations of children about teacher’s play intervention

유한나, 엄정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ims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thought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 of play intervention of their teacher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vention and their expectation about teacher's play interven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90 5-year-old children who registered with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The researcher has a talk with them by face to face with visual ai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think the reason differently why teachers involve in play according to type of intervention. They consider a co-player as ‘playing a role’, a play leader as ‘suggesting new play’, a stage manager as ‘building environment’, and a director as ‘giving a task’. The major answer about teacher's intervention type which is developing play is ‘facilitating excitement’. The common thinking about intervention of teacher is also various by the type. In the case of co-player, play leader and stage manager, their attitude are positive. However in the case of director, their attitude are negative. The more teacher involves, the more negatively they show. Second, to look into children’s expectation of teacher’s intervention, the researcher asked the children when they require the intervention of teacher, and what they expect the teacher to do during free play. As a result, children need teacher’s intervention to resolve problems, at ordinary time. Also they don’t need teacher's intervention in similar percentage. But it appears that a lot of children want a teacher to be a ‘play partner’ in free play period.

한국어

본 연구는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을 개입 유형에 따라 알아보고, 유아가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해 어떤 기대를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사립 유치원 2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90명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영상자료를 활용한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교사가 놀이에 개입하는 이유를 개입 유형에 따라 다르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공동놀이자로의 개입은 ‘놀이 역할 수행’, 놀이지도자로의 개입은 ‘놀이 제안’, 무대관리자로의 개입은 ‘환경 구성’, 방향전환자로의 개입은 ‘과제 부여’를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놀이를 촉진하는 유형의 교사 개입 이유로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난 응답은 ‘재미 유발’이었다. 교사의 개입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도 개입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공동놀이자, 놀이지도자, 무대관리자로 개입한 경우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유아가 많았고 방향전환자로 개입한 경우는 부정적으로 생각하였으며, 교사의 개입 정도가 클수록 교사의 개입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기대를 자유놀이시간에 유아가 교사의 개입을 요구하는 상황과 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유아가 교사의 개입을 요구하는 상황은 문제 해결 상황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개입이 필요한 상황이 없다는 응답도 이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으나, 자유놀이시간에 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놀이 상대자로 교사가 함께 놀이해 주기를 원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
  2.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기대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한나 Yoo, Han Na. 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 엄정애 Ohm, Jung Ae.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