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 도덕적 동기화 검사 도구 개정 연구(2차년도)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oral Motivation Revised Test for Korean Adolescents (2nd year)

전종희, 이인재, 김영한, 박균열, 윤영돈, 류숙희, 홍성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aims to revise Moral Motivation Test I which was set for adolescents based on Rest's four component model in 2011 and make standardized final morality test. In theory, this study is based on 4 components theory of James Rest who invented DIT (Defining Issues Test) to measure the moral judgment. The 4 components are composed of mor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character (or moral implementation, moral action). This study focused on moral motivation. This 2nd year study could get some significant outcomes. To make test form, 3 components relating teams have closely exchanged informations. Because teams have to share same real life stories as follows: “homework inspect”, “on going to park”, “broken art work”. The questionnaire used seven likert type to lessen the far epistemological tendency. To represent moral motivation, research team used moral orientation, moral emotion attributions. To get final form of morality test, this study was made two sequential steps. First one was pre-test which was for 409 respondents. Second main one was for 6,216 respondents. For moral motivation, the reliability was highly coefficient with Cronbach’s alpha(>.90). The validity was also much improved and stable. But just in the story “homework inspect”and “on going to park”, the factor analysis shows a little bit limitation result. Eliminated those question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was more stable and reliable. Through these processes, to test moral motivation, this study shows 3 stories and 28 questions. And this recommends that just one simple story might be developed for one component(moral motiv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J. Rest의 4구성요소 모형을 바탕으로 1차년도(2011년)에 개발된 도덕적 동기화 검사를 보다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개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보완하여 도덕 동기화의 구성요소를 도덕지향성과 도덕적 정서귀인 등 두 항목으로 재설정하고, 스토리와 문항을 수정하였다. 개발된 세 개의 스토리(과제, 놀이공원, 작품) 별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90 내외의 높고 수치를 보였다. 응답의 편포성을 완화하기 위해 2차년도에는 7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예비조사를 위해서는 전국 중학교 2학년생 409명을 대상으로 했고, 본 조사를 위해서는 전국 6,216명의 중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개발된 검사도구의 신뢰도계수(문항 내적 일치도인 크론바흐 알파)는 .90이상으로 신뢰할만했다.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제 스토리와 놀이공원 스토리의 일부 문항이 가정한 요인으로 잘 묶이지 않았는데 이 문항들을 제거하고 요인분석을 다시 실시해본 결과 기대하는 바를 충족했다. 그리하여 2차년도 연구를 통해 최종 스토리는 총 세 개(과제, 놀이공원, 작품)로 확정되었고, 각 스토리별 문항수는 과제 9개 문항, 놀이공원 9개 문항, 작품 10개 문항으로 총 28개 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정 확정된 도덕적 동기화 검사도구는 상당히 안정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기에, 향후 우리나라 청소년의 도덕적 동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활용되기에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초록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1차년도 선행연구의 요약
  2. 도덕적 동기화의 개념 및 측정 요인
 Ⅲ. 예비조사 절차 및 분석 결과
  1. 연구 절차
  2. 예비조사: 도구, 대상, 채점 방식
  3. 예비조사 분석 결과
 Ⅳ. 본조사 절차 및 분석 결과
  1. 연구절차
  2. 본조사: 도구, 대상, 채점 방식
  3. 본조사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도덕적 동기화 검사 도구(예비조사)
 [부록 2] 도덕적 동기화 검사 도구(본조사)
 [부록 3] 도덕적 동기화 검사 도구(최종안)

저자정보

  • 전종희 Jeon, Jong-Hee.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 이인재 Lee, In-Jae.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 김영한 Kim, Young-H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박균열 Park, Gyun Yeol. 경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교육연구원 책임연구원
  • 윤영돈 Yoon, Young-Don. 인천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 류숙희 Ryue, Sook-Hee. 우송대학교 교양교직과 교수
  • 홍성훈 Hong, Seong-Hoon. 여주대학교 보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