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Eriobotrya japonica has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f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inflammation, coughing, phlegm, and ulcers in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In a search for possible bioactive agents from natural sources, we found that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various parts of E. japonica showed moderat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several in vitro bioassay systems. Additionally, the respective parts of E. japonica were irradiated at 20 kG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rradiation. Gamma irradiation of E. japonica extracts removed the deep greenish color without affecting its natural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its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methanolic extracts of this plant source may be not affected by gamma irradiation as its bioactive constituents may be insensitive to this irradiation. Moreover, the methanolic extract of E. japonica may serve as a good natural resource for beneficial functions in food and other related industri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비파의 산업적 이용 평가를 목적으로 하여 부위별 비파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감마선 조사효과를 평가하였다. 비파 추출물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색도변화에서 명도 및 적색도는 증가하였고 황색도는 감소하여 더 밝은 색을 띄었다. 총 페놀 함량은 비파 잎에서 94.1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씨, 과육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사후의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항산화 효과로서는 electron donation ability, β-corotene blcaching assay, FRAP assay 및 reducing power을 정하였는데 이와 같은 항산화 관련 실험에서 비파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 중 잎이 씨와 과육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감마선조사에 의한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본 실험에서의 결과로서 비파에서는 총 페놀 함량이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 비례 증가함을 시사하는 자료가 얻어졌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비파 잎이 39.6%, 씨가 35.4%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과육은 20.2%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조사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부위별 비파 추출물의 항간효과를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10에서 14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대장균에 대해서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유의적 변화 없이 가장 강한 항균 활성 나타냈었다. Ames test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는 10,000 μg/plote이하 일 때 부위별 비파 메탄올 추출물의 돌연변이원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비파의 생활 습관성병 예방 및 기능성 천연 소재로서의 개발이 기대되며 감마선 조사에 의한 비파 성분의 화학적 변형에 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재료
추출 및 감마선 조사
색도 측정
총 페놀 함량
항산화성 측정
향균효과 측정
돌연변이원성 시험(Arnes test)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색도측정
총 페놀 함량
항산화성 측정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항균효과 측정
돌연변이원성 시험(Ames test)
요약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