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위생/독성

생딸기 주스 제조 환경에서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원문정보

Investigation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Environment for Juice Production

김세리, 심원보, 박선자, 하광수, 윤혜숙, 하상도, 김근성, 이규효, 김민곤, 김광엽, 김철호, 정덕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commercial strawberry juices were examined for sanitary indication bacteria, such as aerobic plate count (APC), coliforms, and Escherchia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such a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APC and coliform count ranged 0-5.2 and , respectively, and 80% strawberry juices were contaminated with E. coli and S. aureus, detected at 19%, was found in employee's hands, strawberries, and strawberry juices, wherea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These results will provide microbiological information for introduction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in juice shops.

한국어

본 연구는 서부경남 진주지역 생딸기 주스 상점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주스 HACCP 도입을 위한 미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총 75점의 시료를 5곳의 상점으로부터 채취하였으며, 일반세균수, coliforms, 그리고 E. coli와 같은 위생지표세균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us aureus and Listeia monocytogenes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을 검사하였다. 위생지표세균 검사결과 일반세균수는 . coliform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4곳의 상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딸기 주스에서 E. coli가 검출되었다. 한편,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는 S. aureus가 19% 검출되었으며 특히 가장 빈번하게 검출된 시료는 작업자의 손, 딸기, 딸기 주스였다. 그러나 E. coli O157:H7, Salmonella spp.와 L.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안전한 주스의 생산을 위해서는 모든 생산단계에서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HACCP 제도가 도입되어야 하며 주스 HACCP 도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HACCP의 원리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정보

  • 김세리 Se Ri Kim
  • 심원보 Won Bo Shim
  • 박선자 Seon Ja Park
  • 하광수 Kwang Soo Ha
  • 윤혜숙 Hae Suk Yoon
  • 하상도 Sang Do Ha
  • 김근성 Keun Sung Kim
  • 이규효 Kyn Ho Lee
  • 김민곤 Min Gon Kim
  • 김광엽 Kwang Yup Kim
  • 김철호 Cheol Ho Lim
  • 정덕화 Chung, Duck-Hw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