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러닝을 적용한 고등학교 '정보사회와 컴퓨터'과목 '자료처리 전문가' 단원의 수업 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the Learning on the Subject of 'Information Society and Computer' Using E-learning in High School

이희신, 은태욱, 김진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e-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in 'Data Processing Expert', unit of 'Information Society and Computer' in high school. Two classes of the first grade in D Industrial high school in Daegu were selected and examined to be homogeneous group by basic inspectio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this experimental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e-learning method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raditional lecture oriented method. 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ing by e-learning method was effective on enhancement of average value i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eaching by e-learning method in terms of student level was effective on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and middle level students, while was not effective on low level students. Third, teaching by e-learning method in terms of learning domain was effective on academic achievement in affective domain, while was not effective in cognitive and psychomotor domai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정보사회와 컴퓨터’과목에서 ‘자료 처리 전문가’ 단원에 e-러닝을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에 있는 D공업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한 학급은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러닝을 이용한 학습은 학업성취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학습자 수준별로 분류하였을 때 e-러닝을 활용한 수업은 상위집단과 중위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는 효과적이었으나 하위집단의 학습자에게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셋째, 교육목표에 따라서 분류하였을 때 정의적 영역만 학업성취도에서 효과적이었고, 인지적 영역과 심리 운동적 영역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e-러닝을 활용한 학습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기초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소양 능력이 필요한데 이 능력이 부족한 하위집단은 e-러닝을 활용한 학습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하위 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후속 연구가 이어질 때 e-러닝을 활용한 학습의 성공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3. 연구의 가설
 II. 이론적 배경
  1. e-러닝의 특징
  2. '자료처리전문가' 단원의 e-러닝 수업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 설계
  3. 변인
  4. 검사 도구
  5. 실험 처치
 IV. 연구 결과 및 해석
  1. 학업 성취도 비교
  2. 교육목표 분류에 따른 학업 성취도 비교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 이희신 Lee, Hui-Sin. 대구달서공업고등학교
  • 은태욱 Eun, Tae-Uk. 한국교원대학교 박사과정
  • 김진수 Kim, Jin-Soo.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