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 사회과 교과서 쓰기와 읽기에 대한 체험적 이해

원문정보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Writing and Read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홍미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basic betterments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textbooks through analyzing the phenomenon in which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read as infinite critical texts according to the readers’ viewpoints.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author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have difficulty for the reasons of obscure 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lack of discussion about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textbook’s contents, and the different viewpoints among the authors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who teach with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have difficulty in class due to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ities and contents of the textbooks, reconstruction of contents appropriate to the levels of the learners, and the authors’ obscure intention of writing.
The textbook authors’ criticism of construction of the social studies textbooks’contents occur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and the teachers’ criticism of the social studies textbooks’contents arise from their grop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es and the textbooks. The textbook authors are the subject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judgment on construction of textbook contents and the behavior of writing, and the teachers teaching the textbooks are both the substantive subjects wh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classes and the best subjects who can propose a new model for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curriculum, textbook, and class of the social studies are implemented on a consecutive line, which means that the developers and authors of the textbooks and the teachers are parallel subjects for presenting good textbooks. A good social studies textbook can be created when the authors and teachers constantly record problems revealed in use of textbooks, and the developers of the textbooks reflect such teachers’ voices in policies.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 교과서가 독자의 관점에 따라 무한한 비판적 텍스트로 읽혀지는 현상을 통하여 사회과 교과서 개발의 기본과제를 이해하기 위한 글이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교과서쓰기의 주체인 저자로서의 경험과 교과서 읽기의 주체인 교사로서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연구자의 체험을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 교과서 쓰기와 읽기의 과정을 미시적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 교과서 저자는 교육과정에 대한 모호한 해석, 교과서내용제시방식에 대한 충분한 협의 부족, 집필자간의 서로 다른 교과서관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교과서를 가르치는 교사는 교과서 속의 활동과 내용간의 관계 모호,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내용재구성, 모호한 교과서 저자의 집필의도 등으로 수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구성에 대한 교과서 저자의 비판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교사에 의한 교과서 내용비판은 수업과 교과서의 관계 모색에서 발생한다. 교과서 저자는 교과서 내용 구성에 대한 판단과 집필 행위에 책임을 갖는 주체이며, 교과서를 읽고 가르치는 교사는 교과서를 통하여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는 실질적 주체이다.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그리고 수업은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교과서개발진과 집필자 그리고 교사가 좋은 교과서를 제시할 수 있는 동등한 주체임을 의미한다. 교과서 저자와 교사가 교과서 활용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교과서 연구진과 개발진이 교사의 이러한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할 때 좋은 사회과 교과서는 탄생하는 것이다.

목차

내용 요약
 Ⅰ. 들어가기
 Ⅱ. 초등 사회과 교과서 쓰기 체험
  1. 제7차 사회과 교과서 개발 과정
  2. 교과서 저자로서의 사회과 교과서 내용구성 경험
 Ⅲ. 초등 사회 교과서 읽기 체험
  1. 공적 문서의 사적 해석: 교과서 다시 보기의 과정
  2. 사회과 수업과 교과서 재구성: 교과서 자세히 읽기의 과정
 Ⅳ. 초등 사회과 교과서 내용 개발의 난제
  1. 사회 교과서 저자의 입장: 교과서 내용의 구안자
  2. 수업의 주체, 교사의 입장: 교과서 내용의 해석자
 Ⅴ. 나가기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미화 Hong, Mi-hwa. 서울청계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