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on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s of 258 social studies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is comprised of questions regarding multicultural attitude, multicultural misconceptions,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eachers' suggestions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tudies teachers have the 'caring-centered' perspective most strongly. However, old generation teachers are more likely to have the 'assimilation perspective.' Second, most social studies teachers feel that they are not sufficiently prepar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they want to receive 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y feel the need to chang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of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 should offer more courses on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Also, 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K-12 inservice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지구촌사회, 다문화사회로 급변하면서 나타나는 교육적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사회과 교사교육의 관점에서 탐색해 본 것이다.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는 기존 사회의 시민들과 청소년들에게 변화하는 환경에 더불어 살아가는 시민적 자질을 함양해야하는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하지만 우리 청소년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의 교사들은 아직 다문화적 환경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장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사회과교사들의 다문화적 태도, 다문화적 이해도, 그리고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을 조사하였다. 사회과교사들은 자신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한 준비가 불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을 위하여 교사교육과정의 변화와 교사연수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다문화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교육을 담당할 예비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목차
I. 문제제기
II. 다문화사회의 도래와 교육문제
1. 다문화사회로의 변화
2. 다문화사회에 대한 교육적 대응
III. 다문화 교육에 대한 사회과교사의 인식
1. 조사대상
2. 측정도구
3. 교사의 다문화적 태도
4.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도
5. 다문화교육의 목표
6. 다문화교육을 위한 변화 방향
IV. 다문화교육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과제
1. 다문화교육과정 구성 원리
2. 사회과 교사교육과정 개선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