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해방 이후 한국의 역사과 교육과정 변천과 쟁점

한국 국사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국사교과서 서술의 특징 - 러일전쟁 서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hanges in the Korean History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of Textbook Descriptions - around the description of the Russo-Japanese War -

조성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the Korean history department curriculu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xtbook descriptions focusing on the Russo-Japanese War. In the anti-communism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anti-communism has been consistently applied to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History Department since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and that homeland defense and international collective security were especially emphasized after the Korean Wa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North Korean puppet army and the Chinese army’ were the specific targets of anti-communism. In the first curriculum period, represented by 「 Anti-communist and anti-Japanese education essentials」, as Japan expanded exchanges with communist countries after the Korean War, Japan’s foreign policy was defined as ‘communist policy’ and ‘anti-communist and anti-Japanese’ was emphasized. This was abolished when the military regime came into power after the May 16 Military Coup. The nationalist curriculum, along with anti-communism, was a core value of the National History Department curriculum. In particular,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obilizing the peopl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developi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period from the 2nd curriculum in 1963 to the 3rd curriculum strongly advocated the establishment and modernization of the national view of history, but there was a strong aspect that it was used to overcome the poor legitimacy of the Park Chung-hee regime. Even after the 4th curriculum, the national view of history continued to be emphasized, and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thinking skills also began to be newly emphasized. This national history curriculum had a direct impact on the descriptions of national history textbooks. Wha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was that until the 3rd curriculum period, the cause of the Russo-Japanese War was described as Japan's response to Russia's invasion, but from the 4th curriculum period, the cause of the Russo-Japanese War was described as an imperialistic invasion by both Russia and Japan. In the process, it changed into a narrative that Japan won the Russo-Japanese War and colonized the Korean Peninsula. This can be said to show that the description of the Russo-Japanese War in national history textbooks up to the 3rd curriculum period did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Elementary National History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keywords

한국어

해방 이후 80여 년이 지난 현재 시점에서 한국의 역사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 쟁점을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 역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많은 도움 이 될 것이다. 해방 이후 역사과 교육과정은 한국사 발행체제를 기준으로 크 게 미군정기에서 2차 교육과정기까지, 3차 교육과정에서 7차 교육과정까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현재의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로 그 변천을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변천의 과정에서 ‘사회과로 통합 방안’,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 계 방안’, ‘역사교육의 계열성 확보 방안’ 등이 주요 쟁점이 되었다. 역사학은 학문이 성격이 사회과학과는 다르므로 역사를 사회과에 통합 하려는 것은 잘못된 방향이다. 따라서 한국사와 세계사를 비롯한 역사 과 목을 하나로 묶어 하나의 교과로 독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한국사와 세계사가 이원화됨으로써 한국사와 세계사 교육이 분리되고, 세계사 교 육이 약화되는 오래된 한국 역사과 교육과정의 병폐를 고칠 방안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교육에서 초-중-고 간의 계열성을 확보 방안을 마련하여 독립적인 역사과 교육과정의 체계적인 틀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한국 역사교육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의 역사교육은 국내외의 외부 영향을 많이 받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내외적으로 한국 의 역사교육을 두고 일어나는 일들에 역사교육 학자들이나 교사들이 전 문가로서 지금보다 더 적극적이고 확실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제시되는 국가의 역사과 교육과정은 역사교육 전문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의 큰 방향이나 틀만 제시하고, 지역과 단위 학교 및 역사교사의 자율성이 충분히 보장되는 방향으로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교육과정의 변천과 역사교육
Ⅲ. 러일전쟁 서술의 변천과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성운 Cho, Seong-woon. 상명대학교 동북아역사문화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