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대 청년층의 이직의도유무에 따른 일가치감 비교와 이직의도의 영향요인 분석

원문정보

Comparison of Perceived Value of Work according to Job Turnover Intention status and Analysis Influential variables of Job Turnover Intention among 20s

이지은, 한애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individuals' perceived value of work on job turnover, which is distinct from social issues such as the company's cost loss or individual career delay. In this study, the perceived value of work is categorized into the importance of tasks, efficiency of processes, usefulness of outcomes, achievability of vision, and social recognition. To measure job turnover intention, considering several limitations in its assessment, the researchers adopted the turnover intention variable commonly utilized in previous studies. To achieve this,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recently revised Youth Panel Survey (YP) 2021, focusing on 4,992 wage work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up with turnover intentions,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turnover intentio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ceived value of work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showed that turnover intention decrease when workers have high perceived value of work, permanent job and high monthly salary. While turnover intention increase when workers are female, older and have a longer working period and live in a metropolitan area.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경기침체에 따른 좋은 일자리 부족 현상으로 인해 취업 당시부터 이직의도를 가질 수 밖에 없는 현재 청년층의 일에 대한 정서적 상태를 확인하고, 이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일가치감(perceived value of work)은 자신의 일이 가치 있고 조직 내 자신 이 필요하다는 인지적인 평가와 긍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포함한 일에 대한 경험적 심리 상태를 의미한 다. 이 연구에서는 일에 대한 정서적 상태인 일가치감을 업무의 중요성, 과정의 효율성, 결과의 유용성, 비전의 실현성, 사회적 인정으로 분류하였고, 이직행위 측정의 여러 가지 한계점을 고려하여 대부분의 연 구들에서 활용하고 있는 이직의도(turnover intention) 변수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개편된 청년 패널조사(Youth Panel, YP) 2021의 1차년도 자료의 임금근로자 4,992명을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을 실시하여, 이직의도가 있는 대상자 261명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 261명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52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직의도유무에 따른 일가치감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일가치감’의 평균은 이직의도가 있는 집단이 이직의도가 없는 집단에 대비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며,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위변인인 업무의 중요성, 과정의 효율성, 결과의 유용성, 비전의 실현성도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반면 사회적 인정은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가치감 이 높고, 정규직이며, 월평균 급여가 높을수록 이직의도의 감소할 확률이 있었으며, 여성이고, 나이가 많 으며, 근로기간이 길고, 수도권에 거주할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할 확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청년층의 이직의도
2. 청년층의 일가치감
3. 관련 선행연구
Ⅲ. 분석자료 및 연구방법
1. 분석자료 및 변수
2. 연구모형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1. 이직의도 유무에 따른 일가치감 평균 차이 분석
2. 이직의도의 영향요인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은 Ji-eun, Lee.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전문연구원
  • 한애리 Ae-ri, Han.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