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 문제 - 한국 법체계의 한 병리 -

원문정보

The Binding Effect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s - A Pathology of the Korean Legal System -

안준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ispute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over the binding force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s is one of the side effects of the activation of constitutional trials are activated under Korea’s 1987 constitution. Based on the legal theory of H.L.A. Hart, one of the leading modern legal philosophers, this problem can be diagnosed as a pathology of the Korean legal system. This is because the unity of the rules of recognition on what is a law has partially collapsed among public officials. This pathology of the Korean legal system regarding the binding effect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s can be diagnosed by dividing it into a surface dimension and a back dimension. On the surface, the courts claim that they are not bound by the Constitutional Court's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and then issue conflicting decisions, leading to confusion about what is the law and what the parties'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are. The pathology at the back dimension is the unreasonabl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by the two institutions that can result from such conflicts. This latter pathology is suspected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avoids limited constitutionality decisions and the Supreme Court avoids judicial review petitions, which can be found in the cases on Indecent Act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seek not only legislative solutions, but also solutions through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practices. Among them, this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formation of administrative practices and the role of the president in that process. Since the president and the executive branch have a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for upholding the Constitution and guarantee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they have a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to heal the pathology of the legal system and failure to remedy the legal rights of the people caused by the conflict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through the formation of administrative practices. Moreover, in terms of practicality,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greater chance of solving the problem through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dministrative practices than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changing their existing views on the binding force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s and establishing harmonious practices.

한국어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둘러싼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사이의 다툼은 1987년 헌법 체제에서 헌법재판이 활성화되면서 나타난 부작용(副作用) 중 하나이다. 이 문제를 현대의 대표적인 법철학자 중 한 사람인 H.L.A.하트의 법이론에 기초해 서 고찰하여 보면, 한국법체계의 한 병리현상이라고 진단할 수 있다. 무엇이 법인가에 관한 승인규칙의 통일성이 공직자들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붕괴된 경우로서, 어떤 헌법 문제에 관하여 그리고 그것에 대해서만 공직자들 사이에 분열이 있어서 사법부의 분열 을 초래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둘러싼 한국 법체계의 병리는 표면적 차원과 이면적 차원 으로 나누어서 진단할 수 있다. 표면적 차원의 병리는 어떤 법률이나 법률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에 법원이 기속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그와 상충되는 판결을 해서 무엇이 법이며 당사자의 법적 권리의무가 무엇인지가 혼돈상태에 빠지는 것이다. 이면적 차원의 병리는 그러한 갈등 때문에 야기될 수 있는 두 기관의 무리한 법해석·적용이다. 헌법재판소가 한정위헌결정을 회피하고 대법원이 위헌법률심판제 청을 회피할 때 이런 후자의 병리가 의심되는데, 군형법 추행죄 관련 판례들을 살펴보 면 이런 병리현상이 발견된다. 이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는 입법적 해법 뿐 아니라 관행의 형성과 정착을 통한 해법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그 중에서도 특히 행정관행의 형성과 그 과정에 서 대통령의 역할에 주목한다. 대통령과 행정기관은 헌법을 수호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할 헌법적 책임이 있으므로, 법원과 헌법재판소의 권한갈등 때문에 생기는 법질서 의 혼동과 국민의 법적 권리 구제 실패라는 병리를 행정관행 형성을 통해서 치유할 헌법적 책임이 있다. 현실적 가능성의 면에서도,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에 관하여 대 법원과 헌법재판소가 기존의 견해를 바꾸어서 조화로운 관행이 정착되기보다는 행정 관행의 형성과 정착을 통한 문제해결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며
II. 법체계의 병리와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 문제
III. 표면적 병증과 이면적 병증
IV. 해법 모색
V. 맺으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준홍 Junhong Ahn. 가천대학교 법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