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독교교육 전(前)역사에서 발견되는 기초화와 어린이신학의 관점

원문정보

The Perspective of Elementarization Theory and Children's Theology in the Pre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안정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endeavors to shed fresh insights on the subject of Christian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Elementarization theory, a contemporary German theory in religious education, alongside the model of children's theology. Elementarization theory constitutes a pedagogical approach that strives to harmonize content, learners, methodologies, and objectives in a holistic manner. On the other hand, children's theology represents a theological and pedagogical initiative that acknowledges children as autonomous comprehenders of faith, affording them the prerogative to interpret the Bible. Both foundational theory and children's theology manifest as processes of reimagining educational theology, aiming to resolve inherent tensions and achieve equilibrium. Their collective objective is to cultivate effective instructional settings for comprehending faith, thereby engaging in the task of reconstructing the multifaceted framework of Christian faith in a lucid and discernible manner. This educational impetus can be traced to the very origins of Christian education's developmental history. In the early stages of the church, the process of preparing baptismal candidates involved selecting pertinent content and emphasizing its relevance to life experiences. Martin Luther's Small Catechism distilled this content, restructuring religious education through tangible lessons, and highlighting the role of the father within the family dynamic. The era of Pietism underscored individualized comprehension of the Bible and the structured practice of devotional content. This historical trajectory can be seen as a pedagogical concern marked by a pursuit of mediation akin to that championed by contemporary Elementarization theory and children's theology.

한국어

이 연구는 기독교 교리문답의 발전 역사 속에서 현대 독일 종교교육 이론인 기초 화 이론과 어린이신학의 모형을 중재와 균형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봄으로 기독교교육 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이루고자 함이다. 기초화이론은 내용, 학습자, 방법, 목적을 통 전적으로 일치시키기 위한 교수학적 준비와 노력이다. 어린이 신학은 어린이를 신앙 의 주체적 이해자로 인정하고 성서해석의 권리를 부여하는 신학적, 교육학적 노력이 다. 기초화이론과 어린이신학은 신앙 이해의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하여 긴장을 해소 하고 균형을 이루려는 교육 신학의 재개념 과정이면서 다차원적인 기독교 신앙의 구 조를 가시적이고 명료하게 재구성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교육 동력은 교리문답에서 학문적 종교교육으로 발전하는 기독교교육의 발전 역사의 뿌리에서 공히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슐라이어마허의 새로운 종교 개념 과 심리학 발전 이전으로 구분하는 기독교교육 전(前) 역사에 해당하는 교리문답의 발전 속에서도 기초화와 어린이신학의 동력은 발견된다. 초대교회의 세례후보자 과정은 내용을 선별하고, 삶의 경험과의 연계를 강조했다. 마틴 루터의 소교리문답은 내용 을 압축하고, 구체적인 수업의 형태로 신앙 교육을 재구성하고, 가정에서 아버지의 역 할을 강조한다. 경건주의 시대는 개인의 성서 이해를 강조하면서, 경건 내용의 형식적 실천을 강조한다. 이러한 역사의 흔적은 현대 기초화와 어린이신학에서 목표로 하는 중재와 균형을 이루는 교수학적 관심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신앙 교육은 선포 와 함께 교육의 의미를 처음부터 함께 지니고 있었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기초화(Elementarisierung)의 필요성: 신앙 이해의 명료화
1. 기초화이론 (Elementarisierungsansatz): 신앙이해의 교수학적균형
2. 어린이신학(Kindertheologie): 주체적 성서 해석가로서 어린이
III. 기독교교육 ‘전(前)역사’에도 발견되는 교수학적 균형
1. 초대교회의 세례후보자 교육 (Katechumenat)
2. 종교개혁 시대 교리문답: 신앙내용의 기초화
3. 경건주의 속의 기초적 지식과 어린이에 대한 관심
IV. 나가는 말: 미래를 향한 역사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정도 An, Jeong-Do. 장로회신학대학교 외래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교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