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문법 이해 및 적용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자료기반 자기 주도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성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Model with the DDL on Middle School Students’ Grammar Competency

박혜경, 이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model on middle school students’ grammar comprehension and its application. The subject of study is 122 1st-grade students in G middle school, 61 of whom participate in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lessons and the rest in lecture-style grammar lessons. As research tools a diagnostic test, formative tests, and summative tests were administer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25.0. Also, teacher logs, class observation reports from 3 teachers,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re employed to explore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the two different lesson styl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model has a positive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grammar comprehension and its practical use. According to data collected, students who took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lessons have experienced great improvement in their grammar comprehension and its practical use skills. However, comparing the test result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it is shown that there is not a significant grammar competenc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re one was in lecture-style grammar lessons and the other in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lessons, respectively.

한국어

이 연구는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문법 이해 및 적용 능력 향상을 위한 방편으로 언어자료기반 자기 주도 문법 교수·학습 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중등 영어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문법 수 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Y시 G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122명을 연구대상 으로 하였으며 이 중 61명의 학생은 학습자 중심 자기 주도적 문법 모형을, 나머지 61명은 교사 주 도 강의식 문법 모형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두 집단을 대상으로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를 실시하여 통계적 특성을 비교하였고, 교수학습 상 시사점 을 얻기 위하여 수업 교사의 수업 일지, 수업 참관 교사의 참관록 및 학생 심층 면접 자료를 분석·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자료를 기반으로 한 자기 주도적 문법 학습이 학습자의 문법 이해와 적 용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두 수업 모형의 효과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목표 문법의 특징에 따른 문법 교수 방법, 자기 주도적 수업에 적합한 대안적 평가, 학습자 성향에 따른 학습 방식 등 중등학교 현장의 문법 수업에 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자료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
2. 문법 교수·학습 방법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절차
2. 연구 도구
3. 자료수집 및 처리
Ⅳ. 연구결과
1. 언어자료기반 자기 주도적 문법 교수·학습의 효과
2. 언어자료 기반 자기 주도적 문법 수업과 강의식 수업의 효과 차이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혜경 Park, Hye-kyeong. 경남 금오중학교 교사
  • 이문수 Lee, Moonsoo.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