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오징어게임 > 의 놀이 특성과 언캐니 표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lay Characteristics and Uncanny Expression of <Squid Game>

이혜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etflix drama is a very successful K-drama, both at home and abroad. The reason for this success in the world is because of the universal and interesting scenarios, unique multicasting and talented actors, Each episode is explained for various reasons such as a tense conflict structure.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box office factors of this content, it was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rinsic factors. It was considered that the Neflix effect was an external factor, and the intrinsic factor was the overturned playfulness and the Unkenny expression, and the success factor of "Squid Game" was analyzed accordingly.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various concepts of the Neflix effect, and then applied the play theory between Johann Hoyingha and Rosékai about playability In , we figured out how it transformed the overturned aimless play into a purposeful play. Subsequently, we looked at whether Unkenny was expressed through the numerous formative images, spaces, devices, colors, and play methods shown in . Through this success factor analysi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that can lead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success of K-drama.

한국어

넷플릭스(Netflix)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성공한 K-드라마이다. 따라서 흥행의 성공 요인이 영역마다 관점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석되고 있 다. 재미있는 시나리오, 개성 있는 멀티캐스팅, 실력 있 는 연기력, 긴장감이 넘치는 갈등구조와 함축적이고 공 감되는 대사들이 거론되면서 관점에 따라 성공의 요인 으로 다양하게 설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콘텐츠의 성공 요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외재적 요인과 내재적 요인으로 나누 어 보았다. 외재적 요인으로는 넷플릭스 효과를, 내재 적 요인으로는 전복(顚覆)된 놀이성과 언캐니 (Uncanny) 표현에 있다고 여기고 그것에 맞춰 <오징 어게임>의 놀이의 특성과 언캐니 표현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외재적 요인에 해당하는 변화된 드라마 콘텐츠 소비변화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OTT 서비스를 기반한 넷플릭스 효과를 알 아본 후, 다음으로 놀이이론에 따른 특성분석으로 요한 호이징하(Johan Huizinga)와 로제 카이와(Roger Caillois)의 놀이이론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오징어 게임>에 등장하는 6가지 놀이의 분석을 통해서 <오징 어게임> 속의 놀이를 어떻게 전복된 무(無)목적성의 놀 이를 목적성이 있는 놀이로 변화시켰는지 파악하여 보 았다. 이어서 <오징어게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조형 언어, 즉 이미지, 공간, 장치, 색채, 놀이 방식 등을 어 떠한 방식으로 활용하여 언캐니를 표현하고 있는지 살 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는 K-드라마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공작이 이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절차
2. OTT 서비스와 넷플릭스(Netflix) 효과
2.1. OTT 서비스와 드라마 콘텐츠 소비변화
2.2. 넷플릭스 효과
3. 놀이이론과 언캐니(Uncanny)
3.1. 호이징하의 놀이이론
3.2. 로제 카이와의 놀이이론
3.3. 언캐니 개념과 특성
4. <오징어게임>의 놀이특성과 언캐니적 표현
4.1. <오징어게임>에 나타난 놀이의 특성
4.2. <오징어게임>에 나타난 언캐니 표현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혜수 Lee, Hye Soo. 한남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