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복지사의 역할모호성이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고갈의 매개효과 및 역할정체성과 심리적의미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Role Ambiguity on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in Social Worker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Role Identity and Psychological Meaningfulness

최영관, 이상호, 우주연, 곽원준, 김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role ambiguity on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Moreover we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in their relationships, the moderating effect of role identity and psychological meaningfuln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ocial workers working at the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in Seoul and other the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nd used for an analysis of this study after receiving significant response from 160 questionnai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following assumptions on the basis of prior study. First, role ambiguity affects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emotional exhaustion mediates a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job performance, and a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role identity moderates a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emotional exhaustion. Finally, a psychological meaningfulness moderates a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abov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role ambigu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a posi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Moreover, we confirmed that emotional exhaus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job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role identity moderates the impact of role ambiguity on emotional exhaustion. Finally, psychological meaningfulness does not moderate task performance but moderates the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contextual performa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inal conclusions present suggestions for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the research.

한국어

구성원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있는 반면에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 다. 대부분의 업무를 직접 대면을 통해 처리하는 사회복지사에 대한 스트레스는 조직에서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문제까지 일으키는 등 조직과 개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사회복지사의 스트레스 관리가 필 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능력과 직무요구의 부적합 또는 조직의 요구와 개인의 능 력 간의 불균형인 상태 속에서 고객을 대면하는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한 사회 복지사들이 느끼는 역할모호성이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 서고갈의 매개역할과 역할정체성, 심리적 의미감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역할모호성이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정서고갈 은 역할모호성과 직무성과, 역할모호성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셋째, 역할모호성과 정서고갈 사이에서 역할정체성이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넷 째, 정서고갈과 직무성과 사이에서 심리적 의미감이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 가설을 바탕으로 서울, 수도권 소재의 종합사회복지관에 근 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총 160개의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역할모호성은 직무성과 부(-)의 영향,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둘째, 정서고갈은 역할모호성과 직무성과, 역 할모호성과 이직의 도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역할정체성은 역할모호성이 정서고갈에 미치는 영향을 촉진하고 넷째, 심리적 의미감은 정서 고갈과 과업성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았으나, 정서고갈과 맥락성 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영관 Young-Kwan Choi. ORP연구소 H&OD팀 책임연구원, 숭실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이상호 Sang-Ho Lee. 숭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우주연 Ju-Yeon Woo. 숭실대학교 경영학 박사, ORP연구소 H&OD팀 팀장/책임연구원
  • 곽원준 Won-Jun Kwak. 숭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김민정 Min-Jung Kim. 숭실대학교 경영학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