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관점에서의 실과교육과정과 실과교과서 내용분석

원문정보

Content Analysi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이경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dietary life and biotechnology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5th and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The conclusions drawn as a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covers all three major and eight middle areas of the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content system, so it can be seen that the sustainable diet education contents are reflected relatively much. Second, the dietary life unit of the 5th and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included almost all of the health-related contents of the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content system that could be dealt with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biotechnology unit included mainly practice of environment-friendly eating in environment area and local economy in consideration area. Third, the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contents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were all covered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the textbooks also include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content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Practical Arts textbooks reflect most of the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contents except for some contents. In conclusi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Practical Arts textbooks reflect the paradigm shift toward a sustainable diet relatively well, and can be seen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owth to some extent.

한국어

본 연구는 현행 실과교육과정과 실과교과서가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을 얼마나 반영하는지를 파악 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관점에서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과 5, 6학년 실과교과서의 식생활 과 생명기술 교육내용을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은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체계의 3개 대영역과 8개 중영역 모두 를 다루고 있어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을 비교적 많이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둘째, 5, 6학년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은 ‘건강’ 대영역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어 지속가능한 식생 활교육 내용체계의 ‘건강’ 대영역 내용 중 초등학교에서 다룰 수 있는 거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었고, 생명기술 단원은 ‘환경’ 대영역의 환경 친화적 식생활 실천과 ‘배려’ 대영역의 지역경제 내용을 중점적 으로 다루고 있어 각 단원 특성에 맞는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셋째,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은 실과교과서에서 모두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실과교과서는 실과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던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내용 까지 포함하고 있어 푸드마일리지, 음식물쓰레기, 식량자급률, 전통식문화 발전, 가족식사, 자연과 사람 에 대한 감사 등 일부 내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을 반영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과 실과교과서는 지속가능한 식생활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비교 적 잘 반영하고 있으며, 지속가능 발전과 성장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지속가능한 식생활
2.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체계
Ⅲ.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및 범위
2. 분석 준거
3.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실과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
2. 실과교과서의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
3.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과 실과교과서의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 비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경애 Kyoungae Lee. 부산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