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일본어 교육 연구의 다양성과 다면성

일본어 학습자의가능표현의 사용구분(使い分け)에 관한 연구 - 학습 레벨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Use of Possible Expression by Japanese Learner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Learning Level

최연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rom the perspective of operational analysis how learners classify and use each item within grammar items of similar meaning in order to reveal how Japanese learners acquire Japanese expressions. To this end, large󰠏scale corpus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how learners in the JFL environment use the three possible forms divided by level in acquiring possible expressions, and what such differences in use mean.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cquisition of possible Japanese expressions is centered on the ‘Dekiru type’ and after the intermediate level, it expands to ‘Potential verbs type’ and ‘(Ra)Reru type’. (2) The ‘Potential verbs type’ does not have a large difference in the ratio of use according to the level, but the ‘(Ra)Reru type’ increases as the level increases. (3) In the case of the ‘Dekiru type’, it is mainly used in the form of ‘verb+koto(ga)dekiru’ in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but after the middle of learning, it is divided into the form of ‘noun+(postposition)+dekiru’. (4) Units containing possible forms do not appear characteristically, but some formal use trends such as ‘Potential verbs type+nai’ and ‘(Ra)Reru type+nai’ are observed in the middle group of learners.

한국어

본 연구는 일본어 학습자들이 일본어 가능표현을 어떻게 습득해 가는지에 대해 밝히기 위하여 의미가 비슷한 유형의 문법항목 내에서 학습자들이 각각의 항목을 어떻게 구분하며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운용분석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규모 코퍼스 자료를 분석하여 JFL 환경의 학습자들이 가능표현을 습득함에 있어 3개의 가능형식을 레벨에 따라 어떻게 나누어 사용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사용 차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본어 가능표현의 습득은 ‘デキル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중급 이후 ‘가능동사형’과 ‘(ラ)レル형’으로 확대되어 간다. (2) ‘가능동사형’은 레벨에 따른 사용 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ラ)レル형’은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 사용 비율이 증가한다. (3) ‘デキル형’의 경우, 학습 초기에는 「동사+こと(ガ)できる」의 형태로 주로 사용되지만 학습 중기 이후에는 「명사+(조사)+できる」의 형태로 분화된다. (4) 가능형식이 포함된 유닛은 특징적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중위군의 학습자들에게서 「가능동사형+ない」, 「(ラ)レル+ない」라고 하는 정형적 사용 경향이 일부 관찰된다.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의 검토와 과제 도출
3. 분석 데이터와 방법
4. 분석 결과와 고찰
5. 나오며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최연주 Choi, Youn-Joo. 국립경상대학교 일어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