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제5차 교육과정기 역사교육과 국사교과서

제5차 교육과정 ‘국사’의 내용편제와 서술방향 -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Contents of the 5th curriculum "National History" and the direction of description - In the Joseon Dynasty -

신유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5th curriculum was promulgated in 1987, and has been applied since 1989 for middle schools and 1990 for high schools. In terms of modern political history, it is a curriculum implemented with the launch of the 6th Republic.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people and the research results of socio-economic history and ideological history over the 1970s and 80s were partially reflected, and efforts were made to actively improve the problems pointed out in the 4th curriculum. Various demands raised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were also accepted to pursue a structural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cultivation of historical thinking was emphasized, and content differentiation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was not achieved in the fourth curriculum, was also realized by changing the principle of content organization. The perception of Joseon history was the same as the 4th curriculum in that it was divided into the early and late Joseon periods starting from the Yangran, but the 5th curriculum emphasized accessibili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and grasped based on the argument that the structure of Joseon society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was composed of four status. This is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the 15th century was distinguished from the 16th century in the 4th curriculum and that Joseon society during this period was recognized as an open society centered on commoners. The 5th curriculum high school "National History" took a field history system at the level of intermediate employees, increasing the amount that could be devoted to the fields of "social economy history" and "thought history," which could explain more systematically.

한국어

제5차 교육과정 개정은 고대사 분야의 문제가 언론에 보도되면서 시작되 었으나, 연구 과정에서 각 시대별로 소위원회가 구성되어 당시 학계에서 제 기되었던 주요 비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이를 교과서에 반영하는 방식 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당시 학계의 연구 성과가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 었고, 그 결과 조선시대의 내용편제와 서술방향 면에서 상당히 큰 폭의 변화 가 있었다. 당시 제기되었던 다양한 쟁점에 대한 논의의 결과, 최종 결정된 제5차 교 육과정의 조선시대 서술방향은 크게 3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조선이 고려에 비해 한층 진전된 사회였음을 제시할 것과 둘째, 16세기 이후 정치를 ‘붕당정 치’의 전개과정으로 파악하고 그 긍정적ㆍ부정적 영향을 균형 있게 서술할 것, 셋째, 조선후기의 근대지향성을 밝힐 것이었다. 이러한 서술방향은 중학 교와 고등학교 간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역사교육 학계의 의견이 반영된 편제 방식의 변화, 즉 고등학교에서 대단원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별로 나 누어서 서술하는 방식으로 인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 교과서 서술에서는 조선 건국의 의의에 대해 추상적 주장에 가까운 서술이 이루어졌고, ‘당쟁’이라는 용어가 ‘붕당정치’로 바뀐 것 외에는 그 부정적 영향에 대한 추가 서술이 두드러졌으며, 조선후기의 근대지향성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임란 이전 시기의 역사적 발전상에 대한 서술은 4차 교육 과정에 비해 오히려 축소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생산력의 발전이 조선후기 사회 변화의 동력으로 작용한 측면은 분명히 있 었다고 생각되지만, 단원의 편제가 분야별로 구분됨으로써 양란이라고 하는 정치적 상황과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의 변화 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여지가 사라지게 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목차

Ⅰ. 서언
Ⅱ. 제5차 교육과정 ‘국사’ 교과서의 조선 전기와 후기에 대한 인식
Ⅲ. 1970년대~80년대 조선시대 관련 연구의 동향과 5차 교육과정 ‘국사’교과서의 서술
Ⅳ. 결어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신유아 Shin, You-A. 인천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