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lastic Net을 활용한 대졸 초기 경력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n Determinants of Turnover in Early Career of Graduates utilizing Elastic Net

문보영, 장하연, 이영민, 최계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in early career of graduates as well as their characteristics using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data. This study reviewed if the early career of graduates had stayed at their first job from panel data. Based on preceding research, the data regarding job type, employment type, working hours, earned income, preparation for turnover, and school life in 2018 GOMS were us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7,855 early career of graduates in total. When Elastic Net was applied, 73 variables were chosen and found to be suitable. Consequentl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ge, marriage,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living together, satisfaction on groups where belong, emotion for the past month, sleepign hours, smoking status, and disability of sense organs were chosen as variables from the personal territory. For the school category, a total of 17 variables were selected. For the job category, a total of 46 variables were selectedBased on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way to reduce turnover in early career of graduat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대졸 초기 경력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은 무엇인 지 탐색하고 그 특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직 여부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GOMS)조사시점에 첫 직장과 현재 일자리가 동일한 지를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은 대졸 초기 경력자 7,855명이었다. 분석변인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자리 유형, 고용 형태, 근로시간, 근로소득, 이직 준비 여부, 학교생활 등 이직과 관련된 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Elastic Net을 적용하여 73개의 변인들을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 영 역의 경우 연령, 혼인 여부, 함께 거주하는 가구원 수, 소속집단에 대한 만족도, 지난 한 달간 감정, 수면시간, 흡연 여부, 감각기관의 장애가 변수로 선택되었다. 학교 영역은 졸 업 대학 입학 구분, 졸업 평점, 졸업대학 만족도, 전공 커리큘럼 및 내용, 진로 및 취업 관련 교과목 참여 여부, 직장체험 프로그램 참여 여부, 교내 취업 박람회 참여 여부, 상 담 프로그램 참여 여부, 취업캠프 참여 여부 등 총 17개의 변수가 선택되었다. 직무 영 역은 사업체 종사자 수, 정규직 여부, 종사상 지위, 정규 근로시간, 임금, 고용안정성, 업 무 내용, 개인의 발전 가능성, 인사체계, 직무관련 교육 훈련, 직장 만족도, 업무 만족도, 일 수준 일치 정도 등 기술 수준 일치정도, 전공 일치 정도, 대학 전공 지식의 업무 도 움, 유급 휴가, 시간 외 수당, 상여금, 유급주휴, 산전 후 휴가, 국민연금, 특수 직역 연 금, 건강 보험, 고용 보험 등 46개의 변수가 선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졸 초기 경력자의 이직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1. 이직 관련 선행연구
2. Elastic Net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2.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Elastic Net 회귀모형
2. Elastic Net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보영 Mun, Bo Young. 숙명여자대학교
  • 장하연 Jang, Ha Yeon. 숙명여자대학교
  • 이영민 Lee, Young Min. 숙명여자대학교
  • 최계원 Choi, Kye Won. 숙명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