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he Impa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Job Performance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원문정보

일터 영성이 과업 성과와 맥락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직무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Zhou HaoJun, Chung, Soo-Ji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job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 total of 457 valid samples were received from employees of Chinese enterprises. On the basis of theoretical research, 4 key research hypotheses are proposed and the hypothesis models of workplace spirituality,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re established. SPSS 23.0 software was used to conduct hypothesis testing by using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methods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with task performance.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s should emphasize workplace spirituality at work, and managers should encourage more methods to improve employees' perception of job satisfaction, so as to strengthen the impa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job performance. To a certain extent, this study reveals the influence mechanism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job performance,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busines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tive application direction of business education. It provides an important reference for decision-making of the questionnaire and research objects in the field of business education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일터 영성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 만족의 조절 효과를 중심 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 내 기업 종사자로부터 유 효 표본 457부를 수집하였으며,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일터 영성, 과업 성과, 맥락 성과, 직무 만족에 대한 가설모형을 설정하여 4가지 주요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가 설검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정량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터 영성은 과업 성과와 맥락 성과에 유의한 상관관계 를 보였으며, 직무 만족은 일터 영성, 과업 성과, 맥락 성과 간에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실증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은 직무에서 영성을 강 조해야 하며, 관리자는 직무 만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장려하여 직무 성과 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일터 영성이 직무 성적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을 어느 정도 밝혀냈으며, 상업 교육의 활용 방향이라는 측면에서 상업 교육 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향후 상업 교육 분야와 관련된 설문과 연구 대상에 대해 중요한 의사 결정에 참고가 된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search Hypotheses
1. Workplace Spirituality(WS)
2. Workplace Spirituality(WS) and Job Performance(JP)
3.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JS)
Ⅲ. Research methods
1. Research model
2. Analysis methods and sample characteristics
3. Variable composition and measurement scale
4.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5. Correlation analysis
Ⅳ. Hypothesis Testing
1. Validation for Hypothesis 1
2. Validation for Hypothesis 2
3. Validation for Hypothesis 3
4. Validation for Hypothesis 4
Ⅴ. Conclusions and Discussions
1. Conclusion and Implications
2. Limitation and Further Research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Zhou HaoJun 주호준. Wonkwang University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Ph.D. student
  • Chung, Soo-Jin 정수진. Wonkwang University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Profess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