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가상현실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조사

원문정보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 on the use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김지효, 박성만, 이영림, 주미란, 박은서, 박종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a plan for effective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in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was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eachers(n=20)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e followings: 1) Teachers are positively aware of the necessity of English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but most teachers complained of a psychological burden on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2) negative responses were somewhat higher than positive responses to the expectation that virtual reality-based English content would be practical in the educational field; 3)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it is necessary to share experiences for educational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and need to provide various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4) For virtual reality educational application, there is a high demand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education and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and provision of guidelines for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교육에서 가상현실 활용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 다. 이를 위하여 영어교육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교사들은 가상현실 활용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 사가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해 심리적 부담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상현실 기반 영어콘텐츠가 교육 현장에 실용적일 것이라는 기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보다 부정적인 반응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 상현실 활용한 영어교육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상현실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경험공유,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 츠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가상현실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가상현실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교육 및 연수 와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교육에서의 가상현실 콘텐츠
2.2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가상현실 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4.2 가상현실 영어콘텐츠에 대한 인식
4.3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지원 및 활용방안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지효 Ji-Hyo Kim.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미래창의융합연구소
  • 박성만 Seong-Man Park.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미래창의융합연구소
  • 이영림 Young-Lim Lee. 단국대학교 심리치료학과 교수, 미래창의융합연구소
  • 주미란 Mee-Ran Joo.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미래창의융합연구소
  • 박은서 Eun-Seo Park.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해부학 박사과정
  • 박종태 Jong-Tae Park.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해부학 교수, 미래창의융합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