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역사 영역) 교과서

원문정보

An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

김민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an analysi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 analyzed the textbooks to see if they achieved an educational purpose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The integration at larger unit level had problems. First, under an unit,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the contents in economic history were organized and as a result, the history in the textbooks had descriptive limitations such as (1) overemphasis of growth without addressing its problems and (2) biased narrativ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overnment and businesses excluding that of workers. Second, that the contents of political history were organized under an unit, “Political Development in Korea” exposed problems, that is, (1) no accepting origin of democracy in Korea and (2) no making students understand situations of the times lively. The integration at sub-unit level was also problematic. The historical figures were not properly described because the conditions of the times and the historical contexts they lived were not taken into account. And the contents in pre-modern history were full of nationalist narratives, in which a nation was emphasized as historical actor and an excellence of its culture was highlighted. I expect the curriculum to be revised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urrent of the times and recognize the past comprehensively.

한국어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사회(역사 영역) 교과서를 분석하여 사회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성취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민주시민을 위한 역사교육의 관점에서 초등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였는데, 경제 발전이라는 대단원 아래 중주제로 경제사를 배치한 결과 경제의 성장 측면만 강조하고 그 한계는 언급하지 않은 점이나, 경제를 기업과 정부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등 서술의 편향성이 두드러졌다. 정치 발전이라는 대단원 아래 정치사를 배치한 것은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에 관한 역사학계의 논의를 수용하지 못하게 하였으며, 초등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생활사가 누락되어 시대 상황을 생생하게 이해하기 어렵게 하였다. 중주제 수준의 통합도 역사 인물이 살았던 시대적 조건과 역사적 맥락을 제거한 것을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전근대의 정치사와 문화사에서는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서사를 답습하고 있었다. 다음 교육과정 논의에서는 초등 역사교육 전공자들의 제안을 참고하여 초등학생들이 역사학습을 통해 시대의 흐름을 이해하고 역사를 종합적으로 배울 수 있게 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들어가며
II. 2015개정 초등 사회과(역사 영역) 교육과정을 둘러싼 논의
1. 사회과 통합형 역사교육
2. 민주시민을 위한 초등 역사교육
III. 2015개정 초등 사회(역사 영역) 교과서의 분석과 대안 모색
1. 사회과 통합형 교과서 분석
2. 민주시민을 위한 초등 역사 교과서에 대한 제언
IV. 나오며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민수 Kim, Minsu. 남산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