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대학의 온라인 수업지원이 학습실재감을 매개로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effect of university’s online class support on learning participation through learning presence

김지효, 임희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university’s managing and system support in online classes on learning participation mediated by learning presence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35 students who take online “College English 2” classes were analyzed for the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path and structural analysis through a confirmative factor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university’s managing support for online class showed a positive effect to learning presence. Second, the university’s managing support for online classes completely mediated learning presence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articipation. This study can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online class support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in university online class,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articipation and can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participation in online classes. It gives the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의 운영 및 시스템지원이 학습실재감을 매개로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성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수업으로 이루어지는 공통교양과목 중 ‘대학영어2’ 수강생 135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 형의 적합도 분석과 경로구조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온라인 수업환경에 대한 대학의 운영지원이 학습자의 학습실재감에 정적인 영향을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환경에 대한 대학의 운영지원이 학습실재감을 완전매개하여 학습참여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환경특성 요인인 온라인 수업에 대한 지원, 학습자 특성 요인으로 학습실재감, 학습참여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온라인 학습장 면에서 학습참여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교수·학습 설계에 고려해야 하는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측정도구
2.3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구성요인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3.2 구성요인 간 상관계수
3.3 최종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3.4 최종 연구모형의 표준화 구조경로도 및 관계분석
3.5 매개효과 분석 결과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지효 Ji-Hyo Kim.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 임희주 Hee-Joo Im.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