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사지원인식이 리더십 효능감을 매개하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on Leadership Efficacy and Job Stress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강선애, 어수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on job stress of male and female manag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dership efficacy, and when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affects leadership efficacy, It was analyzed through the moderating mediation effect of the effect depending on gender. For this purpose, the Korean Women Manager Panel was used and the data of male managers were included.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v25 and PROCESS MACRO v3.5. As a resul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efficacy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leadership efficacy and job stress. In the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on job stress, leadership efficacy was confirme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The moderation effcet of gender was not found in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between leadership efficacy. The moderation effect of gender was not found on relationship of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and leadership efficacy.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indirect effect which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affects leadership efficacy.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In order to manage stress in the organization, the leadership efficacy of the managers should be included. Also, gender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plan to improve leadership efficacy in an organiz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패널을 활용하여 상사지원인식이 남녀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 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상사지원인식이 리더십 효능감에 영향을 줄 때 성별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른지를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 7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남성관리자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v25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가설 검증에는 PROCESS MACRO v3.5를 활용한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사지원인식이 직 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리더십 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리더십 효능 감의 효과를 통제했을 때에도 상사지원인식이 직무스트레스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확인하여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가설인 상사지원인식과 리더십 효능감 관계에서의 성별 조절 효과 를 확인한 결과 성별이 리더십 효능감에 직접 영향을 주지는 않았으나, 상사지원인식과의 상호작용을 투 입했을 때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있어 상사의 지원과 같은 조직 내 지원이나 대인관계의 영향과 더불어 근로자의 효능감도 같이 관리해야 한다는 것과 조직에 서 리더십 효능감 증진방안에 대해 성별을 고려한 방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 가설의 설정 및 연구모형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Ⅲ. 분석결과
1. 기술통계분석
2. 변인의 신뢰도 및 상관관계
3. 주요 변인 간의 성별 차이
4. 상사지원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리더십 효능감의 매개효과
5. 성별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선애 Seonae, Kang.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박사졸업
  • 어수봉 Soobong, Uh.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