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좋은 일자리 새로운 분류 제안 및 분석

원문정보

The Study on Classification of Better Jobs for Graduates

남기성, 천영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implemented to measure the quality of employment utilizing the GOMS data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nd intended to propose a new classification criterion for good and better jobs based on both factors of individual and company standards. In the individual standard, in order to apply a criterion for the good and better jobs, wage, employment status, and job satisfaction are used by considering compensation, employment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in the company standard, the definitions of mundane, good and better jobs are presented by associating company type, company size, and employment status.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e study, college graduates who are male gender, Seoul province origins, colleges of education, four-year universities, national-public universities, and engineering majors are advanced to the good and better jobs than that of other comparative groups.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preparation for job aptitude test, experience in preparation test, participation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and reservation wage are analyz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s in finding good and better job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by applying classification variables, which are based on good job standards, as an independent variable for a secondary analysis.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고용의 질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개인 기준과 회사 기준의 요소를 바탕으로 보통 일자리, 좋은 일자리와 더 좋은 일자리의 새로운 분류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좋은 일자리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 탕으로 개인 기준에서는 보상, 고용 안정성, 직무만족도 등을 고려하여 급여, 고용상태, 일자리 만족도 등 을 이용하였고, 회사 기준으로는 법인의 성격, 회사의 규모, 고용상태 등을 적용한 후 이를 조합하여 보 통 일자리, 좋은 일자리, 더좋은 일자리의 새로운 기준을 정의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남성, 서울권 소재 대학 출신, 교육대와 4년제, 국공립, 공학계열 대졸자가 다른 비교집단에 비해 좋은 일자리와 더좋 은 일자리에 많이 진출한 것으로 확인되어 선행연구와의 결과가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 요인 분석에서는 진로 및 취업 준비 요인으로 기업체 직무적성검사 준비, 시험 준비 경험(공무원 및 공 단(사) 시험과 세무사, 노무사, 변리사 등 시험과 취업이 직접적으로 연관),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훈련 참여, 유보임금 등이 좋은 일자리 취업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기준은 객관적이며, 적용이 쉬운 장점이 있다. 그리고 좋은 일자리 기준을 바탕으로 한 분 류변수가 2차 분석을 위한 독립변수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좋은 일자리 기준 및 기초 분석
1. 좋은 일자리의 개념 및 선행연구
2. 좋은 일자리 기준의 제안
3. 좋은 일자리 분포
Ⅲ. 좋은 일자리에 대한 결정요인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기성 Kiseong Nam.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 천영민 Youngmin Chun.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