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지식근로자의 직무성과에 있어서 비물질적 인센티브의 영향에 관한 연구: 매개변수로서 심리계약을 중심으로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ontract in the process of immaterial incentives influencing job performance. This paper investigates knowledge workers in Hebei province by network questionnaire. In this survey, a total of 560 questionnaires were issued, 52 invali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nd 508 valid questionnaires were finally recovered. In this study, the Chinese scholar Guo Wei (2015) immaterial incentive scale was adopted and modified on this basis. The measurement scale of job performance mainly refers to the measurement method designed by Goodman & Svyantek (1999), and i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The psychological contract scales designed or used by scholars like Rousseau (1998, 2000), Lee Tinsley (1999) and Wang Pei (2018) were referred to in the selection of the scal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four parts. The first part 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survey and a survey of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respondents, including seven question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and job position. The second part is the immaterial incentives questionnaire. The third part is the psychological contract questionnaire. The fourth part is the job performance questionnaire.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d other statistical techniques were used to process the measured data, so 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in the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influence test, some discussions are made : (1) The organization needs to establish a fair and just salary management system and implement flexible welfare system. (2) The organization shall develop career plans for employees. (3) The organization should strengthen humanistic care for employees and build a harmonious relationship. (4) The organization should give employees autonomy and strengthen work redesign. (5) Employees should enhance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adjust their psychological expectations of the organization.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지식근로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비물질적 인센티브가 심리계약으로 서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 지에 관해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중국 허베이성 지역에 기반을 둔 지식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에서는 총 560개의 설문지 가 배포되었고 52개의 설문지를 제외한 508개의 유효설문지가 최종적으로 회수되어 분석의 필요를 기본적으로 충족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Guo Wei(2015)의 비물질적인 인센티브 척도를 바탕으로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해 실시하였으며 개별 인센티브, 직무 인센티브, 조직환경 인센티브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직무성과의 측정척도는 주로 Goodman&Svyantek (1999년)에서 설계한 측정 방법을 위주로 하였으며, 상황별 성과척도 선정에서는 Smith, Organ, Near(1983)가 제안한 척도를 주로 활용하였다. 심리계약은 Rousseau(1998,2000)와 같은 학자에 의해 설계되거나 사용된 척도로서 인지된 조직책임과 종업원책임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척도는 Lee Tinsley(1999), Robinson Turnley(1995), Chen California 등에서도 많이 활용된 바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 사용된 심리계약 척도를 기초로 적절한 조정을 거쳐 최종 측정척도로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성별, 연령, 혼인 여부, 교육 수준, 직급 등 7개 질문을 포함해 설문조사와 응답자 기본정보에 대한 설문조사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한 것이며, 두 번째 부분은 14개의 질문을 포함하는 비물질적 인센티브에 관한 내용을 주로 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심리계약에 관한 것으로써 20개의 설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네 번째 부분은 8개의 설문이 포함된 직무성과와 관련한 설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상관관계분석, 구조 방정식 및 기타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비물질적 인센티브, 심리계약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모델에서 심 계약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심리계약은 직무성과에 대한 비물질적 인센티브의 영향을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영향분석 결과에 의하면 심리계약 및 조직책임, 종업원책임의 두 가지 차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비물질적 인센티브의 영향에서 중재역할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제안해 보았다. (1) 조직은 공정하고 정의로운 급여관리체계 를 구축하고 유연한 복지제도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2) 조직은 종업원의 경력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3) 조직은 종업원들에 대한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관리를 강화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4) 조직은 종업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업무 재설계를 강화해야 한다. (5) 종업원은 조직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고 동시에 심리적 기대를 맞출 필요가 있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Hypotheses
2.1 Knowledge workers:
2.2 Immaterial Incentives
2.3 Job Performance
2.4 Psychological Contract
2.5 Research hypothesis: Psychological contrac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impact of immaterial incentives on the job performance of knowledge workers
2.6 Research Model
Ⅲ. Data collection
Ⅳ. Data Analysis
4.1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4.2 Reliability analysis
4.3 Validity analysis
4.4 Correlation analysis
4.5 Research hypothesis verification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
5.1 Conclusion
5.2 Suggestion
References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