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목표지향성이 개인 창의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와 심리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Creativity, and Job Performance : Mediating Effects of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전학철, 진초운, 구자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employees’ creativity and job performance. We examined the effect of employee's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on creativity and job performance, and then to see how the parameters of feedback seeking behavior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verify how the psychological capital perform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outcome variables. In this study, 296 office workers in China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employees with learning goal orientation actively sought negative feedback from their coworkers, which increased their job performance and creativity. In addition, employees with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ctively sought positive feedback from their coworkers, which led to the increase in their job performance. In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high levels of loss-oriented psychological capital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s and two outcome variables(job performance and creativity), while high gain-oriented psychological capital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feedback-seeking behaviors and creativity.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과 개인 창의성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 으로 종업원의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목표지향성이 창의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 있어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 매커니즘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 자본이 피드백추구행동과 결과 변수 간의 관계에서 어떤 조절 효과를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296 명 회사원을 대상으 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 목표지향성이 높을수록 부정 피드백 추구행동을 많이 함으 로써 직무성과 및 창의성이 증진되었으며, 성과 목표지향성이 높을수록 긍정 피드백 추구행동을 많이 함으로서 직무성과 및 창의성이 향상되었다. 이 과정에서 손실지향적 심리적 자본이 높을 경우에는 부정 피드백추구행동 이 직무성과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고, 이득지향적 심리적 자본이 높을 경우에는 긍정 피드백추구행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구 의 시사점, 한계점 등을 논의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2.1 목표지향성
2.2 피드백 추구 행동
2.3 직무성과
2.4 창의성
2.5 심리적 자본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설정
3.2 연구가설 설정
3.3 조사절차
3.4 변수의 조작적 정의
Ⅳ. 실증분석 결과
4.1 표본의 일반적 특성
4.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4.3 상관관계 분석
4.4 연구가설 검증
Ⅴ. 연구의 결과 및 한계점
5.1 연구 결과 및 이론적 시사점
5.2 기업경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학철 Quan Xue-Zhe.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진초운 Chen Chu-Yun.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석사과정
  • 구자숙 Koo Jasook.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