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수목 현황 조사 및 개선 방향 연구 - 세종지역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school landscape architecture and improvement

고인규, 박현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trees in Sejong and improving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elementary schools in the Sejong area. From May 1, 2020 to July 30, 2020, the landscaping trees of the target schools were surveyed mainly on the tree. In surveying the current status of tree planting, the survey area was set as the place where the trees were planted throughout the school grounds except for the main building and attached buil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total of 81 trees were planted in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area, followed by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100%), Taxus cuspidata (95%), Pinus densiflora(90%), Hibiscus syriacus((85%), and Acer palmatum Thunb(85%). There are 53 types of Tall trees, including Juniperus chinensis, Pinus koraiensis and pine trees. There are 28 types of Small trees, including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Buxus microphylla and Nandina domestica. There were 66 fallen leaves, and Ginkgo biloba, Cornus kousa, Cornus officinalis and cornus were planted. There are 12 types of evergreens, including Pinus parviflora, Pinus densiflora. There are 69 broad-leaved trees with plantings such as Sophora japonica and Aesculus hippocastanum, and 12 broad-leaved trees with Pinus koraiensis and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landscape of elementary school in Sejong area.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trees in the old city-large school and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the installation of tree name tags. Second,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ubject education through planting trees that reflect the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recognition of the school garden into a space that simply provides rest, and transform it into an experience space that enjoys culture and practices educ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세종지역 내 학교 수목 현황을 조사하고 초등학교 학교 조경의 개선 방향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세종지역 관내 20개 초등학교로 2020년 5월 1일부터~2020 년 6월 30일까지 현지 답사를 통해 대상학교의 수목 중 목본류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수목 식재 현황을 조사하는데 있어 조사 구역은 학교 본관 및 부속 건물을 제외한 학교 교지 전체에 수목이 식재 된 곳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종지역 초등학교에 식재된 수목은 총 80 개종으로 철쭉(100%), 주목(95%), 소나무(90%), 무궁화(85%), 청단풍나무(85%) 순으로 식 재되어 있었다. 교목은 52개종으로 향나무, 소나무, 잣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관목은 28개종 으로 철쭉, 회양목, 남천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낙엽은 65개종으로 단풍나무, 산딸나무, 산수유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상록은 15개종으로 섬잣나무, 둥근소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활엽은 68개종으로 회화나무, 마로니에 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침엽은 12개종으로 잣나무, 메타세콰 이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세종지역 초등학교 조경 개선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도심-대규모 학교의 수목 다양성을 높이고 수목 이름표 설치를 통 해 교육적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수목 식재를 통해 교과 교육의 효 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정원을 단순히 쉼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을 너 머 문화를 향유하고 교육을 실천하는 체험공간으로 가꾸어 나갈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 조경의 의미
2. 학교 조경의 가치
3. 초등학교 조경에서 수목 현황 조사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조사 대상
2. 조사 방법
Ⅳ. 세종지역 초등학교 수목 현황 분석
1. 교목과 관목 식재 현황
2. 상록수와 낙엽수
3. 침엽수와 활엽수
4. 수목 이름표 현황
5. 구도심 및 신도심 수종 현황
V. 세종지역 초등학교 학교 조경의 개선 방향
1. 구 도심학교 수종의 다양성 확보
2. 식재 구역 조정과 수목 이름표 설치
3. 교육과정이 실현되는 교육 공간으로서의 활용
4. 철학적 가치를 지향하는 문화 공간으로서의 활용
Ⅴ. 요약 및 제언
1. 요약
2.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고인규 Go, In-Gyu. 세종 양지초등학교
  • 박현철 Park, Hyun-chul. 충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