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시대 필사본 한글 음식조리서의 탕류 음식명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Soup Names in Korean Culinary Manuscripts of the Joseon Dynasty

송지혜

국어사학회 국어사연구 제30호 2020.04 pp.121-153

doi:10.14727/khl.2020.30.12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mantically analyzed the soup names in Korean culinary manuscripts of the Joseon Dynast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oup. To accomplish this, the soup names were divided into two parts:the “soup part (湯部)” and “soup characteristic part (湯性部).” The terms guk (국), tang (湯), jang (醬), and gaeng (羹) were representative soup types, and tang (湯) appeared most frequently. Among these, the term guk (국) of soup part (湯部) was almost first recorded in the Siuijeonseo (시의전서); however, in this cookbook, tang (湯) was used instead of guk (국) for foods relating to ancestral rites, such as ritual food. The soup characteristic parts were classified into “ingredients,” “visual shape,” “evaluation,” “cooking methods,” and “place name.” The reason behind some of the soup names was hard to understand. Some of the soup names currently in use did not appear in this study, and some of the soup names in this study are no longer used. Some of the soups in this study had different ingredients from those in their present recipes.

한국어

본고는 필사본 한글 음식조리서에서 탕류에 해당하는 총 65종의 음식명을 가려내 어 현대 음식명과 비교하고, 탕류의 특성이 음식명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탕류의 음식명을 탕부(湯部)와 탕성부(湯性部)로 나누어 살폈다. 탕부(湯部)에는 ‘탕(湯)’이 48종에 사용되었으며, ‘국’, ‘장’(醬), ‘갱’(羹)도 쓰였고 탕 부가 생략된 탕류 음식명도 소수 있었다. 주목할 점은 탕류 음식명에 ‘국’은 시의전 서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이 문헌에서 제물(祭物) 등 의례에는 반드시 ‘탕’을 사용 했다는 점이다. 시의전서를 제외한 조리서에는 ‘국’이 탕성부를 갖춘 탕류 음식명에 나타나지 않으나, ‘국물’을 표현할 때는 여러 조리서에 ‘국’이 사용되었음을 밝혔다. 탕성부(湯性部)는 ‘재료’를 나타내는 것이 대부분이고, ‘모양’, ‘평가’, ‘조리법’, ‘장 소’ 등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탕성부의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탕류 음식명도 소수 있었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탕부(湯部)
3. 탕성부(湯性部)
4.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지혜 Song, Ji-hye. 금오공과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