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기대와 현실 :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원문정보

Bridging the Gap between Stakeholders’ Perception and Reality Regarding Public English Dducation in Korea

이문복, 권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vestigated stakeholders’ perceptions regarding English education received at public schools. For this, three groups of stakeholders –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that asked about their perceptions about the following: weekly English learning hours; the ultimate goal of learning English; the expected/predicted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when they graduated/will graduate from high school; and their preference concerning various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policies offered at the schools. The resulting data findings indicated that students in general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weekly hours for learning English, while teachers and parents demanded an increase in overall hours. In terms of the learning goal, the expected/predicted level of proficiency, and preference for policies, students tended to have different perceptions compared to the teachers and parents, who by contrast shared similar perceptions.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학교 영어교육의 중장기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학교 영어교육의 실태와 기 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비교 제시하였다. 설문조사에는 학생 1,007명, 교사 144명, 학부모 340명이 참여하였으며, 주요 설문 내용으로는 학교급별 영어 수업시 수, 최종 희망-예상 영어능력 목표, 학교 영어교육의 최종 목표, 현재 추진 중인 영어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이 제시되었다. 각 설문 응답에 대한 결과는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경향성을 제시한 후 추론 통계를 실시하여 세 집단 간의 인식 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교사, 학부모들은 유사한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학생은 다른 두 집단과 상이한 인식을 보였다. 특히 영어 수업 시수에 있어서 대다수의 학생들은 현재 영어 수업시수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나 교사와 학부모는 학생에 비해 영어 수업시수가 충분하지 않아 확대해야 한다는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 교사, 학부모의 희망 대 예상 영어능력 목표 간 차이가 컸으며, 교사와 학부모는 학교 영어교육만을 통해서도 중급 이상의 영어능력 수준에 도달 하게 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학생들은 이보다 비교적 낮은 기대수준을 갖고 있었다. 셋째, 학교 영 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로 세 집단은 각각 다른 응답 양태를 보였지만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실용 영어 능력 신장을 위한 영어교육을 우선순위에 두어야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의견을 나타냈다. 넷째, 영어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응답으로는 ‘흥미와 자신감을 키워주는 수업 자료 보급’이나 ‘교과 서 이외의 실제적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와 같은 교수학습 자료개발 및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제 기하였으며, 평가 관련 정책과 관련하여 ‘수업과 연계된 평가’ 또는 ‘과정중심 평가도구 개발’에 대 한 높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초·중등학교의 영어교 육의 내실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 요약 >>
I.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유럽 주요 국가의 영어교육 현황
2. 한국 영어교육의 주요 쟁점
I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 수집 및 분석
IV. 연구 결과
1. 학교 영어 수업시수에 대한 인식
2. 희망 또는 예상하는 영어능력수준
3. 학교 영어교육의 궁극적 목표
4. 학교 영어교육의 개선 방안
V. 논의 및 제언
1. 영어 수업, 예상-도달 수준, 궁극적 목표에 대한 시사점
2. 영어 교수·학습 개선방안의 필요성
3. 연구의 한계점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설문지

저자정보

  • 이문복 Moon-Bok Lee.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위원
  • 권서경 Suh-Keong Kwon.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전문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