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의성 지역 역사문화자원 활용을 위한 제안 : 조문국 금동관과 토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Suggestions for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Uiseong

이은주, 김미경, 김영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Geumseongsan Tumulus of the Uiseong area where the Jomunguk was existed in the Three Han Period, many relics such as metal craft ornaments and Uiseong-style earthernware were excavated. However, it is hard to find cases where the excavated relics were use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In this study, symbolic relics which can express the culture of Uiseong Jomunguk were selected from excavated relics. Then, the basic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cultural products were derived from symbolic relics. In order to select symbolic relic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craft relics excavated from the Tablili Tumulus and the Dali Tumulus were examined. As a result, a gilt-bronze crown excavated from the Tablili Tumulus was selected as a symbolic relics. And then the basic desin was derived from the gilt-bronze crown. The basic design is expressed in the form of birds based on the bird's feather shape at the edge of the standing ornaments and the record of the Bongdae(鳳臺), the phoenix's habitat. And the application design that changed the expression of the birds’ face was presented.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Uiseong area was designed as a soil pot and applied various indoor air purification pla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hich reinterprets and reconstruc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region in accordance with the modern sense,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of Jomunguk. Furthermore, if the design derived from the Jomunguk relics is used as a representative symbol of the area, it will be possible to derive an image of a differentiated region from other region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 chance to re-evaluate the valu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

한국어

삼한시대 조문국(召文國)이 존재하였던 의성지역의 금성산 고분군에서는 금속제 장신구, 의성양식 토기 등 다수의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나 출토된 유물을 문화상품 개발에 활용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성 금성산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 중 조문국 문화 를 잘 표현할 수 있는 대표 유물을 선정하여 다양한 문화상품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 디자 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상징 유물을 선정하기 위하여 탑리리 고분군과 대리리 고분군에 서 출토된 금속제 유물의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고찰 결과, 탑리리 고분 출토 금동 관을 의성 조문국의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유물로 선정하여 기본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기 본디자인은 세움 장식 가장자리의 새 깃털 형상과 봉의 서식지인 봉대(鳳臺) 기록을 근거 로 새 모습으로 표현하였으며 새의 얼굴 표정에 변화를 준 응용디자인을 제시하여 일례로 책갈피 도안에 적용해 보았다. 한편 의성지역 출토 토기는 토분으로 활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에 적용하였으며 금동관에서 도출한 디자인을 토분 팻말에 적 용하여 식물 이름과 식물의 공기정화 효과, 그리고 식물의 관리법 등을 적는 용도로 활용 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해석하고 재구성한 본 연구의 결과는 조문국의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성지역에 소재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상품을 위한 기초적 디자 인을 제시하고 접목한 사례에 불과하지만 의성지역 문화재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추후 의 성지역 문화상품개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의성(義城)과 조문국(召文國)
1. 문헌과 고지도 상의 조문국
2. 의성 고분과 조문국박물관
Ⅲ. 조문국 금속 유물과 문화상품 개발
1. 금속류 유물 종류와 의성지역 특성의 대표 유물 추출
2. 금동관을 활용한 기본 디자인 도출
3. 금동관 추출 기본 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 예시
Ⅳ. 조문국 토기 유물과 문화상품 개발
1. 의성 지역 출토 토기
2. 토기 토분의 활용 예시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주 Lee, Eunjoo.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교수·문화산업연구소 소장
  • 김미경 Kim, Migyung.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박사과정·문화산업연구소 연구원
  • 김영선 Kim, Youngsun.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