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감(compassion)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질적 연구를 통한 연구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 of Compassion on Job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Creating Research Model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고성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re categories experienced by firefighters in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50 firefighter information providers who work in Seoul in 2014, 2017, and 2018, and conducted a research model that shows the causal relationship of core categories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s a result, compassion experienced by information providers is revealed as a core category, and this compas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work related identity, collective self esteem,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derived a research model that show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grounded theor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nables firefighters who desperately need compassion in the fire department organization to more actively exchange compassionate action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서 근거이론에 기반 하여 소방대원들이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핵심범주들의 인과관계를 연구모형을 통해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2017년, 그리고 2018년에 걸쳐 서울지역에서 근무하 는 50명의 소방대원 정보제공자들을 인터뷰하였고,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을 거쳐서 핵심범주들의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제공자들이 조직에서 경험하는 공감이 핵심범주로 드러났고, 이러한 공감 이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 집단적 자긍심, 그리고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 의 이론적 시사점은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 근거이론에 기반 하여 공감과 업무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연구모형을 도출했다는데 있고, 향후 소방서 조직 내에서 공감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소방대원들이 더욱 활발히 공감적 행위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직문화 형성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1 공감(compassion)에 대한 선행연구
1.2 공감과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의 관계
1.3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과 집단적 자긍심의 관계
1.4 집단적 자긍심과 업무성과의 관계
1.5 근거이론
3. 질적 연구 방법
3.1 정보제공자
3.2 소방서 선정
3.3 반구조화 된 인터뷰와 질문지
3.4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
4. 질적 연구 결과
4.1 공감(compassion)
4.2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PWRI)
4.3 집단적 자긍심(Collective Self Esteem)
4.4 업무 성과(Job Performance)
4.5 주제의 발견 및 연구모형
5. 결론 및 시사점
5.1 결론 및 시사점
5.2 한계점 및 향후 연구
REFERENCES

저자정보

  • 고성훈 Sung-Hoon Ko.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