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 체제 변화 양상 - 이해, 소통, 공감의 매개로 전환 -

원문정보

A Study on Changing Patterns in the Framework of Teachers’ Guidebooks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 The Transition to a Mediation of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Empathy –

나경훈, 이동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s of changing framework on the teachers’ guidebooks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hereinafter “guidebooks”) and to present future tasks for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guideboo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or this study, the framework of guidebooks was analyzed from the 4th curriculum, which began to be classified as a type of textbook,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 function and content elements of guidebooks was changing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curriculum. Second, the nature of the guidebooks was returning to the direction of composition to achieve clear objectives in unit classes. Third, the concept and terms used in guidebooks were mixed with each curriculum. Fourth, form, content elements and functional changes were being attempted to accommodate the various needs of field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se results, the role of guidebooks was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and the demands of the times, but it did not get sympathy of the teachers. Thu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new direction to enhance practical fitness, understand, communicate, empathize and practi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구성 체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검토 결과를 바탕으 로 교사용 지도서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사용 지도서가 교과용 도서 로 분류되기 시작한 제 4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 체 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방향에 따라 교사용 지도서 의 성격과 기능, 내용요소가 바뀌고 있었다. 둘째, 차시수업의 명확한 목표달성을 위한 구성방향으로 회귀하 고 있었다. 셋째,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에 사용된 개념과 용어가 일관되지 못하고 교육과정시기마다 혼란스럽 게 제시되고 있었다. 넷째, 현장 교사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형식과 내용요소, 기능상의 변화를 꾀 하고 있었다. 이 결과를 고려할 때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교육과정과 시대적 요구에 상응하여 변화하고 있 었으나, 많은 교사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현장 적합성 고양, 이해, 소통, 공감, 실천의 가능성 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방향 정립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연구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내용 및 방법
III.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구성체제 분석
1. 제 4차 ~ 제 5차 교육과정기: 지도서 구성 체제구축과 차시수업의 상세화
2. 제 6차 ~ 제 7차 교육과정기: 단위수업 중심의 풍부한 예시자료와 수업 아이디어 제공
3. 2007 개정 ~ 2015 개정 교육과정기: 현장 활용성증대와 차시수업 강조로의 회귀
IV.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구성 체제의 특징과 함의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나경훈 Na, Kyung hun. 진위초등학교 교사
  • 이동원 Lee, Dong Won.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