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금강하구 갯벌 내 환경요인과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 분포의 상관관계

원문정보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Macrobenthos Assemblages in Geum Estuary Tidal-flat

유재원, 이채린, 박미라, 윤지현, 강성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eocheon and Yubu Island mudflats in Geum Estuary are important stopover sites for migratory birds as energy supplementation area in the East Asia-Australasian Flyway. Benthic invertebrates in the tidal flats are important food resources for the migratory birds. In other words, benthic invertebrates in the tidal flats play an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energy flow.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enthic invertebrate assemblag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eocheon and Yubudo tidal flats in the Geum Estuary. As a result of the benthic invertebrate assemblage during the fall migration season, the total species number was 147, density and biomass were 1,772±1,342 individuals/m2 and 445.1±807.6 g/m2, respectively. Based on the appearance species and the density data, the result of analysis of mutual similarity among sampling site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was the Macrophthalmus-Heteromastus community and Group B was the Spio-Urothoe-Mandibulophoxus community. Group B showed higher mean species number, density and biomass than Group A. The BIO-ENV analysis showed that the benthic invertebrate assemblages were most affected by the combination of sand content % and sediment sorting (ρ=0.500). The variables of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pecies number and biomass were sediment sorting (p=0.015) and the pore water DO(Dissolved Oxygen, p=0.003) in sediment, respectively.

한국어

금강하구 서천 및 유부도 갯벌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의 이동경로상 에너지 보충을 위한 중요한 중간 기착지점으로, 갯벌의 저서성무척추동물은 이들의 중요한 먹이원이 된다. 즉, 갯벌의 저서성무척추동물은 에너지 흐름의 중요한 생태적 역할을 담당한다. 금강하구 서천 및 유부도 갯벌의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 분포와 환경요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가을철 이주 기간에 실시한 저서성무척추동물의 군집 분포 조사 결과, 저서성무척추동물은 총 147종, 밀도와 생체량은 각각 1,772±1,342 개체/㎡, 445.1±807.6 g/㎡으로 나타났다. 출현종과 서식밀도 자료를 기반으로 각 정점 간 상호 유사도 분석 결과, 크게 2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A 군집은 칠게-고리버들갯지렁이 군집(Macrophthalmus-Heteromastus community) 이었고, B군집은 달걀얼굴갯지렁이류-단각류 군집(Spio-Urothoe-Mandibulophoxus community)이었다. B 군집이 A 군집에 비하여 평균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등이 월등히 높았다. BIO-ENV 분석 결과,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은 퇴적환경 변수인 모래함량과 분급도 조합에 의한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ρ=0.500)으로 나타났다. 종수와 가장 큰 상관성을 보이는 환경변수는 분급도(p=0.015)로 나타났고, 생체량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환경변수는 공극수 DO(p=0.003)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조사지역
2.2 조사 및 분석방법
2.3 통계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퇴적환경
3.2 군집 패러미터의 변동
3.3 군집 패러미터 조절 요인
3.4 군집의 분류 및 특성 파악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유재원 Jae-Won Yoo.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이채린 Chae-Lin Lee.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박미라 Mi-Ra Park.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윤지현 Jihyun Yoon.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
  • 강성룡 Sung-Ryong Kang. 국립생태원 국제협력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